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보통 범죄 수사에서 DNA 정보는 ‘짧은 반복수변이(STR)’를 통해
구별
한다. STR은 DNA 중 유전자가 아닌 부분에 존재하는 짧은 반복서열이다. 반면 조상 찾기 서비스는 염기 1개 차이를 보이는 유전적 변화인 단일염기다형성(SNP)을 통해 개인의 특징을 식별한다. 연구팀은 872명의 ... ...
[식물 속 동물 찾기] 뿌리에서 쥐 오줌 냄새가 나는 쥐오줌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나는 ‘말오줌나무’지요. 동물과 가까이 지낸 옛날 사람들은 동물의 오줌 냄새도
구별
할 수 있었던 걸까요? 이번 기사의 주인공인 쥐오줌풀은 뿌리에서 쥐 오줌 냄새가 나요. 특히 독일에선 이 냄새를 고양이가 좋아한다고 생각해 쥐오줌풀을 ‘고양이 풀’ 또는 ‘고양이의 뿌리’라고 부르지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G유플러스 홈미디어 체험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학습해 사람의 말을 듣고 반응하는 음성 인식 비서예요. 학습량이 많을수록 발음을 잘
구별
하기 때문에 지금도 클로바는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훈련하며 스스로 발전하고 있어요. 2017년 12월부터 LG유플러스는 IPTV 서비스 ‘U+TV’에 클로바 인공지능 기능을 넣었어요. IPTV는 인터넷으로 실시간 ... ...
[Culture] 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지글지글 차알찰 차르르르~.’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치킨 튀기는 소리에 침이 고였다. 하지만 맛있는 치킨을 상상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도대체 저 소리가 ... 통해 축적되는 것”이라며 “맛에 관심을 갖고 이에 관한 기억을 쌓아두는 것이 맛
구별
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3. [우리의 노력 1] 과학으로 똑똑하게 분리수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가 주인공이지요. 일반적으로 수거된 재활용 쓰레기는 종류나 깨끗한 정도에 따라
구별
돼야 하는데, 이때 분류하는 작업은 사람이 해요. 일부에선 광학 장치나 자석, 레이저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정확도가 사람의 작업만큼 높지 않지요. 반면 사람이 직접 작업할 경우 비용이 많이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왼쪽 그림).doi:10.1093/humrep/dev002몸길이가 눈금자의 1mm도 채 되지 않는 정자가 우리는 쉽게
구별
할 수 없는 미세한 온도차를 감지할 수 있다는 게 신기할 따름입니다. 나팔관은 텅 비어있지 않고 액체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 사실은 1891년 토끼 나팔관 접합 실험을 하던 중 이미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나무 판자가 모두 바뀌어도 여전히 같은 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되는 유전물질이 달라지면, 우리는 다른 사람이 됐다고 할 수 있어요. 사람을 구성하고
구별
하는 기준이 달라진 셈이니까요.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 이 질문은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중요해졌어요. 만약 사고로 다친 사람이 로봇팔을 얻었다면? 인공심장을 얻었다면? 혹은 로봇팔과 ... ...
[과학뉴스]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센서가 개발됐다. 이태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팀은 염기서열 한 개 차이까지
구별
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 5월 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마이크로RNA(miRNA)는 인간 세포에 2600개 이상 존재하며, 22개의 염기서열로 이뤄진 매우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이런 지문의 특징을 이용하면 범인을 잡는 확실한 증거로 쓸 수 있다고 생각하고, 지문을
구별
하는 방법을 개발해 1880년 논문으로 출판했답니다. 20세기 초반부터 지문을 이용해 수많은 범인을 잡았어요. 이후 지문 인식 기술은 점점 발전해서 현재는 과학수사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금융 결제,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CLS)가 쓰인다. 이들 장치는 희귀동위원소의 질량이나 크기를 정밀하게 측정해 원소를
구별
하고, 핵의 특성을 규명해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는 데 사용된다. 문 협회장은 “원소를 다른 원소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가속기는 현대판 연금술사로 불린다”고 말했다. 라온 구축이 논의되기 시작하면서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