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별"(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밖에도 ISOL에서 생성된 희귀동위원소의 질량을 정밀하게 측정해 희귀동위원소를 구별하고, 원자의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이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원소의 발견도 가능하다. 한국(KOREA)의 이름을 딴 ‘코리아늄’이 발견 될 수도 있다. 강 팀장은 “라온 완공 이후 일차적으로 ... ...
- [과학뉴스] 육식동물 판다가 초식동물이 된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독소가 너무 많은 식물을 거르고 먹어야 한답니다. 쓴맛 수용체가 식물이 쓴 정도를 구별하는 역할을 하지요. 판다는 이 쓴맛 수용체와 관련된 유전자를 16개 가지고 있어요. 북극곰, 늑대, 호랑이 등의 육식동물들이 10~14개 갖고 있는데, 판다는 이보다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이지요. 또 판다의 쓴맛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브라운대학교 철학과 김재권 명예교수는 마음에 위치가 없다면 다른 사람과 내 마음을 구별할 방법이 없다며 마음도 위치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답니다. 과연 마음은 어디에 있을까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호랑버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식물은 따뜻한 봄이 되면 아름다운 꽃을 피워요. 이를 위해 혹독한 겨울 동안 털이나 기름층으로 둘러싸인 꽃눈을 키우죠. 꽃눈은 성장을 멈춘 채 겨울을 나고, 날씨가 따 ... 알려진 건 대부분 수그루의 꽃이지요. 산을 오르다 호랑버들을 발견하면 꽃의 모양을 보고 암수를 구별해 보세요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스펙트럼에 차이가 생길 수도 있다. 조 연구원은 “한 가지 방법으로는 겹친 지문을 구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여러 방법을 동시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시도 중인 다른 방법은 지문 이미지 자체를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분리해내는 기술이다. 분광분석 과정과 별도로 겹친 지문을 ...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수학동아 l2018년 04호
- 가짜 지폐를 진짜처럼 만듭니다. 경찰은 처음엔 속겠지만 결국엔 가짜와 진짜를 구별해내려고 하죠. 서로 견제하는 과정에서 위조범과 경찰은 함께 실력이 향상됩니다. GAN에서 위조범은 생‘ 성 모형’이고 경찰은 ‘판별 모형’입니다. 진짜 지폐는 작가가 그린 얼굴, 가짜 지폐는 흉내 낸 ...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같은 모양을 나타낸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불쾌한 골짜기를 지나 인간과 거의 구별할 수 없을 만큼 로봇의 외모와 움직임이 비슷해지면 다시 호감도는 상승한다. 이 그룹장은 “사람은 대화할 때 감정에 따라 얼굴에 미묘한 변화가 나타나는데, 로봇은 그렇지 않아 불쾌한 골짜기가 생기는 ... ...
- [DJ CHO의 롤링수톤]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 음색의 마술사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구별되는 음의 색깔입니다. 바이올린과 피아노로 같은 크기의 동일한 음을 연주해도 구별할 수 있는 건 두 악기의 음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청각은 이 음색에 민감한데, ‘음악적인 청각’을 잃은 라벨이 정교하게 다뤄야 할 작업을 대체하기 위해 음색에 빠져들었다는 겁니다. 그림으로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세포에 이식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은 자연계에 이미 존재하는 마이코이데스와 구별하기 위해 인공유전체에 몇 가지 정보를 인위적으로 추가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연구원 45명의 이름과 e메일 주소를 암호화해 인공유전체에 넣었습니다. 마치 워터마크처럼 말이죠. 그리고 여기에 ‘Mycoplasma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시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후 19세기 초가 되면 서로 다른 화학물질을 구별하는 기술인 분석화학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화학에 관한 체계적인 정리가 필요하게 됐다. 하지만 여전히 원소의 분류보다는 화합물에 대한 분류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던 중, 1817년 독일의 화학자 요한 되베라이너(1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