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주죠. 수많은 디지털 콘텐츠 중에서도 특히 DOI가 널리 쓰이는 곳은 학술 논문입니다. 2010년대 이후로 수많은 논문에 DOI 번호가 붙어서 출판되고 있습니다. 학술 단체나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문을 발표할 때 DOI를 넣기를 권장하기도 하죠. 논문의 경우 실물 학술지가 아닌 인터넷으로만 논문을 ... ...
- 무인가게에 수학이 사용된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가 점점 늘고 있어요. 특히 무인 편의점은 2019년에는 전국에 208곳이 있었는데, 2022년에는 3310곳으로 약 16배나 늘었어요. 그런데, 무인 가게를 사람 없이 운영할 수 있는 비결에는 ‘수학’이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가게에 직원이 없어도 ‘셀프 계산’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물건마다 ... ...
- 바닷속 보물을 찾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일반 시민들도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곳에 있었어요. 하지만 그 지역에서 30~40년 동안 생활했던 주민들조차 선박이 있는지 몰랐습니다. 최근 방파제가 지어지면서 해양 환경이 변화해 해남선이 모습을 드러낸 거죠. 해남에서 고선박이 발굴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앞으로 해남 ... ...
- [가상 인터뷰] 24시간 둥지 지키는 펭귄의 수면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턱끈펭귄은 남극해에서 가장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는 펭귄 중 하나야. 수명은 15~20년 정도고, 돌을 쌓아 올려 둥지를 만들고 살아간단다. 남극은 너무 춥지 않아? 남극은 추운 곳이지만 턱끈펭귄들은 남극에 살기 적합하도록 진화했어. 척박한 육지를 날기 보단 먹을 것이 풍부한 바다에서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서천에 다 같이 가서 갯벌에 사는 망둥이도 보고, 저어새를 관찰한 적도 있어요. 2024년에는 다 같이 철새를 관찰하러 갈 예정이에요. Q. 사마귀의 먹이를 매일 찾아준 적이 있다고요? 집에서 사마귀를 키우다 보니 사마귀가 어떤 먹이를 좋아하는지 다 알게 됐어요. 학교 다녀오는 길에 사마귀가 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땐 주의할 점도 있어! 궁금하면 폭스타와 함께 알아 볼까? 창작하는 AI가 떴다! 2015년 구글이 인공지능(AI) 딥 드림을 개발했을 때, 사람들은 깜짝 놀랐어요. 딥 드림은 사진이나 그림 같은 이미지를 입력하면,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그림을 만들어줬거든요. 딥 드림은 마치 초현실주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물과 염소 가스를 결합시켜 처음으로 만들었어요. 이후 100년이 훌쩍 더 지난 1970년대 초가 되어서야 자연 상태의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처음 발견됩니다. 곧이어 수심 300m 이상의 깊은 해저에서도 다량 발견되지요. 전 세계에 매장된 가스 하이드레이트 양은 10조 t(톤)으로 ... ...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1, 13, 17, 19 네 개의 수를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이는 10과 20 사이의 소수로, 수천 년 전 사람들이 이미 소수의 개념을 알고 있었다고 추측하게 만든다. 또 기원전 1000년 경 중국의 청동기 시대 사람들은 콩을 다섯 개씩 세 줄로 늘어놓아 5라는 소수로 15를 만들 수 있다는 기록을 남겼다. 남아 있는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거대 소수를 발견할까? 현재 가장 거대한 메르센 소수로 추정되는 소수는 6년 전인 2018년에 발견됐다. 누구나 할 수 있으니 거대 소수 목록에 이름을 올리고 싶다면 지금 바로 도전해보자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20세인 1727년에 러시아 제국의 페테르부르크 아카데미로 건너가 24년을 머무른다. 1735년에는 시력을 잃었는데도 천부적인 기억력과 강인한 정신력으로 독일과 러시아를 오가며 연구를 이어갔다. 이때도 매주 한 편씩 논문을 작성했다고 전해진다. 오일러가 수학에 공헌한 내용은 다양한데, 현대에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