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역"(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없으며, 저자의 소속도 실존 기관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학계에서는 게르마늄이 면역력 증진과 통증 완화, 피부 및 운동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논문 속 주장에 확실한 근거가 없다고 지적한다. 03 스티븐 호킹 타계 “This was the Big Bang, the beginning of the universe(이것이 바로 빅뱅, 우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평화로운 분위기?![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팩트체크 4] DMZ, 멸종위기종의 천국[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한계가 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항체는 인간 항체와는 서열이 달라 거부반응인 면역원성(immunogenicity)이 발생한다. 당시 밀스테인의 지도를 받으며 연구를 진행하던 윈터 연구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항원에 결합하는 부위만 동물의 것을 사용하고 나머지 부위는 모두 인간에서 유래한 것을 ...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현대 인류에게 남아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는 총 152개이며, 이 유전자가 모두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와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등 모든 RNA바이러스와 상호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유전자들이 만들어내는 단백질은 바이러스와 직접 맞서 싸우거나, 세포 단백질의 ... ...
-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종양학’이라는 분야가 아예 따로 생겼어요. 얼마 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면역 항암제’와도 관련 있는 분야입니다. 저 같은 수학자는 실제 종양이 어떻게 자라는지 수학을 통해 시뮬레이션 하거나 종양의 원인을 수학 모형을 이용해 찾아냅니다. 제 연구와 튜링 모형이 직접적으로 관련 ... ...
- 2018 노벨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소개한다. INTRO. 2018 노벨상PART 1. 최근 노벨상 5대 트렌드PART 2.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PART 3. ‘신의 빛줄기’를 자유자재로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PART 4. 효모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후반에는 생화학 분야가 압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의학상도 과거에는 면역학과 병리학이 주요 수상 분야였지만, 20세기 후반에는 생화학 분야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 정책연구팀장은 “화학은 성분의 구조와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인 만큼 물리학이나 생물학 등 다른 분야와의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퍼듀대 약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주제는 암세포의 면역 회피 기작과 면역항암 치료법이다. 미국 텍사스주 MD앤더슨암센터에서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바 있다. limsoe@purdue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점은 상처 등을 통해 체액이 직접 교환돼야 감염된다는 것이다. 이런 병원체로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나 매독균 등 성병 관련 병원체가 있다. 이들은 주로 체액 등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다만 이는 야귀의 특징인 짧은 잠복기에는 들어맞지 않는다. HIV는 감염 이후 길게는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증상을 호소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글루텐을 비롯한 밀 속 단백질이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유력한 용의자로 꼽힌다. 이와 같은 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평생 쌀이나 보리로 만든, 글루텐이 없는 빵을 먹을 수밖에 없다. 같은 빵이지만 밀가루 빵과는 식감이 확연히 다르다. 서 교수는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