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제거하기 시작했다.
박테리아
를 투입해도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면역세포가
박테리아
를 잡아먹는 장면을 포착했다. 허파꽈리 칩이 실제 인체와 생리적 기능이 비슷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면서 칩을 이용한 임상 실험이 전개되기에 이르렀다.항암제 부작용 없애는 단백질 발견올해 3월 서울대에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보고했다. [1986년 존 화이트 교수가 커넥톰 지도를 만든 예쁜꼬마선충은 흙속에서
박테리아
를 잡아먹으며 사는 다세포생물이다.]뇌과학자들은 확산텐서영상을 통해 찾아낸 각각의 신경섬유 다발이 우리 뇌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노력 중이다. 뇌의 두 부분이 서로 연결돼 있다는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공격하기 시작했어. 빨리 막아야 해. 그런데 먼지는 너무 작아서 잘 볼 수가 없어. 게다가
박테리아
만큼 작은 미세먼지와 옷에서 떨어져 나온 마이크로플라스틱은 더 안 보여. 눈에도 잘 보이지 않는 작은 것들의 습격,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중국 미세먼지의 습격3월이 되자 황사가 우리를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손상되지 않았다. 코스타 오스트리코브 연방과학원 교수는 “플라스마는 세균이나
박테리아
의 DNA를 파괴해 제거한다”며 “플라스마를 이용해 세균을 파괴하면 내성이 생기지 않아 항생제보다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 ...
Intro. 제2의 나,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장 속에는 장내미생물이라고 부르는
박테리아
가 수백조 마리나 살고 있다.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보다 10배나 많은 숫자다. 지난 수년 동안 장내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제 장내미생물은 인체를 이루는 하나의 기관(organ)으로 바라보고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추정한다”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소장 내벽에 정착해 살고 있는
박테리아
(녹색)의 모습.] 식단을 보면 장유형 추측할 수 있어5개월 뒤인 2011년 10월 과학저널 ‘사이언스’에는 장유형과 평소 섭취하는 음식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내용의 논문이 실렸다. 미국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추출물의 경우 장내미생물 가운데 대표적인 유익균으로 알려진 젖산간균과 비피도
박테리아
의 숫자를 늘린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미생물은 인체에 여러가지 방식으로 도움을 주는데 특히 면역계를 조절해 1형 당뇨병 같은 자가면역질환의 위험성을 낮춰준다. 즉 은행잎 추출물의 약효 가운데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시아노
박테리아
에서 기원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색소체는 세포에 포획된 시아노
박테리아
가 엽록체로 진화하는 과정에 있는 중간 형태로 추정된다.“엽록체의 기원인 내공생은 지구상에서 단 한번 일어난 사건입니다. 그런데 지금 폴리넬라에서 두 번째로 내공생이 일어나고 있지요. 무척 ... ...
생명과 행성의 공진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남세균, 스트로마톨라이트시아노
박테리아
또는 남세균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균(
박테리아
)이다. 남세균은 이 세균의 색이 푸르스름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남세균은 수소나 황화수소를 이용하는 생물과 달리 물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부산물로 산소를 만든다. 남세균 ... ...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같은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진핵생물인 회조류가 시아노
박테리아
에게 유전자를 받아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를 만들게 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2월 17일자에 실렸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