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1박 2일' 촬영 현장이 실시간으로 중계될 수 있는 이유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연구는 수학 모형을 이용한 네트워크(사진) 연구에 첫발을 내디딘 것” 이라며 “앞으로
박테리아
와 생명활동의 관계를 나타낸 생물 네트워크까지 연구를 확장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뺄 수 있게 될 거야. 미국 워싱턴대학교 제프리 고든 교수팀이 비만 생쥐의 장속에 사는
박테리아
를 조사했어. 그 결과 비만 생쥐에게 ‘펄미큐티스’라는
박테리아
가 많다는 걸 알아 냈지. 그리고 정상 체중의 생쥐 장에 펄미큐티스
박테리아
를 넣었더니 비만 생쥐가 되어 버렸단다. 장 속 ... ...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Images우리 몸의 미생물은 때로 격한 불협화음을 낸다. 치주에 사는
박테리아
가 그 예. 이
박테리아
는 플라그를 만들어 치아의 건강을 위협한다. 플라그는 초기에는 칫솔질만으로 쉽게 사라지지만, 오래 남아 있을 경우 단단하게 굳어서 치석을 이루고, 결국 잇몸질환을 일으킨다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흡착으로 걸러지지 않는다. 또 미생물이 분해하기도 쉽지 않다. 이 연구원은 “일부 탈질
박테리아
가 질산을 질소 기체로 바꾸기도 하지만, 극소량에 불과하다”며 “지하수와 관련해 가장 어려움이 많은 물질”라고 말했다.‘지하수가 오염되면 모든 게 끝장’이라는 인식도 과장됐다. 지하수가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국립수의과학원에 의뢰해 검사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고 밝혔다.하지만 다른
박테리아
(세균)는 검사하지 않았고, 전례에 비춰 볼 때 얼마든지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환경부에서 2009년 AI 매몰지의 세균 오염 상태를 조사한 결과 대장균과 클로스트리디움 균, 바실러스 균이 관찰됐다. ...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과정과 생명 진화의 역사를 다룬다. 화학적 진화의 개념을 이해하고 광합성
박테리아
출현이 지구와 생명의 역사에 어떤 변혁을 가져왔는지 알아본다. 염색체, 유전자, DNA의 개념을 통해 생명의 연속성을 이해한다.정보통신과 신소재자연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인식하는 방법과 정보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박테리아
를 지니고 이동합니다. 새로운 환경에서 포자를 깨고 나온 아메바는 동반한
박테리아
가 증식하면 이를 잡아먹고 살아가죠.사회자: “그게 뭐 농사냐?”하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농사란 결국 먹을 수 있는 걸 다 먹지 않고 남겨뒀다가 수를 늘려 먹는 행위 아닙니까. 따라서 아메바 선생님은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종의 숫자가 훨씬 더 늘어날 것이다. 계(界) 다음의 분류학 단계인 문(門)을 기준으로
박테리아
종을 묶었다.] [장 미생물의 생태계가 건강 유지에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익균이 들어있는 프로바이오틱 제품이인기다. 위에서 분해되지 않은 과립에 생균을 넣어 만든 캡슐.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진균류로 분류된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다. 원생생물 중 식물성 플랑크톤은 시아노
박테리아
와 함께 지구 산소의 75%를 만들어낸다. 이들은 또한 물속 생태계 먹이사슬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원생동물은 원생생물 중 운동성을 갖고 있는 생물로 단세포이다. 소수는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 질병을 ... ...
진공에서도 식물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식물이 노출됐을 때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보기 위해 실행됐다.식물과 특수한
박테리아
를 제외한 대부분의 생명체는 진공상태에서 오랫동안 살아남지 못한다. 사람의 경우 진공상태에서 15~20초 뒤 산소 부족으로 무의식 상태가 되며, 1~2분 후 생명을 잃게 될 가능성이 높다. 훨러 박사는 “이 연구를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