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과학동아는 제 동갑내기 친구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EBS 창의융합교육부에서 근무 중이다. 과학 발명 분야와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교육 분야의 콘텐츠를 제작하며 관련 내용으로 강의를 하면서 각지의 학생들과 만난다. 2022년 11월부터는 KBS라디오에서 ‘하우영의 하우투사이언스’ 코너로 전국의 청취자들과도 만나고 있다. 이런 나의 요즘 ... ...
- 두 번째 질문 I 수학에선 무한을 어떻게 정의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자연수를 구하라는 질문에 대답할 수 없어요. 수학에서 이러한 부분을 엄밀하게 다루는 분야를 ‘집합론’이라고 합니다. 수학에서는 무한을 정의할 때 먼저 원소의 개수가 무한한 집합을 찾고, 그 집합의 크기를 무한이라고 이야기해요. 자연수 집합이 대표적이지요. 인문학자 그러니까 무한을 ... ...
- [특집] 가짜 과학 믿는 사람, 설득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어떻게 비과학적 주장을 피할 수 있을까 ‘가짜 과학’으로 분류되는 주장들은 공통적으로 과학의 ‘권위’만 등에 업고 있으며, 실제로 과학이 성공적으 ... 방법입니다.” * 용어 정리동료 평가(peer review) : 한 연구자의 논문을 같은 학문 분야 내의 다른 전문가가 평가하는 제도 ... ...
- 사람 같은 생성형 AI는 언제? MIT-IBM 왓슨 AI 연구소에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갖춘 ‘넓은(Broad) AI’, 마지막으로 사람처럼 추론 능력에 자율성까지 갖추고 여러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일반(General) AI’. 그는 “현재의 AI는 2단계인 넓은 AI에도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AI의 윤리적인 문제와 편향성을 극복하는 것도 과제다. 한 예로 메타(옛 페이스북)는 지난해 11월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줄기세포로 장기를 조립하다,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달리 실험대에서 쉽게 조작이 가능하다는 장점까지 있어서 오가노이드 기술은 의과학 분야에서 그 영역을 점차 넓히고 있습니다. 오가노이드가 실제 조직과 크게 다른 부분 중 하나는, 오가노이드가 실제 장기의 모양을 똑같이 모방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우리 몸의 세포와 조직은 상호작용을 ... ...
- [논문탐독] 녹조라떼, 머신러닝이 해결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수질관리 정책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다른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머신러닝 기술 그 자체만으로는 수질관리 정책을 크게 향상시키기 어렵습니다. 일단 수질 관측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축적돼야합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 변화 등 환경 ... ...
- 60년 묵은 생체시계 난제 해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스위치가 아무 이유 없이 존재하지 않을 텐데’라는 의문이 들었어요. 혹시 생체시계 분야에서 계속 풀리지 않던 ‘온도에 상관없이 생체시계 주기가 유지되는 이유’와 관련 있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컴퓨터로 온도를 바꿔가면서 실험해보니까 인산화스위치가 온도에 따라 다른 행동을 ... ...
- [Space Math] 우주시대 앞당기는 기술 적층제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가볍게 함과 동시에 가격도 낮출 수 있다. 우주 현지 자원 활용한 기술에도 제격 우주 분야에서 거론되는 주제 중 마치 SF 소설처럼 들리지만, 어느새 실현 가능한 수준에 이른 것이 있다. 우주에 장기 거주 기지를 건설할 때 지구에서 대량의 기자재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소수의 프린터 로봇만 ... ...
- [Data Math] 여성 건강 책임지는 개발자 '해피문데이 부혜은 CTO'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그때 기분이 남달랐을 것 같은데 어땠나요?창업할 당시에는 여성 헬스케어 분야가 지금처럼 유명하지 않았고, 차차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였어요. 저희가 0에서 시작해서 쌓아 올린 것을 알아봐주는 것 같아 감사했어요.또 는 세계적인 잡지사인데 해피문데이가 전 ... ...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핫한’ 분야가 있다. 당시 동물 표본실을 관리할 사람은 떠났지만 새로 들어온 같은 분야 연구자가 없는 상황이었다. Q. ‘곰팡이 습격 사건’을 처음 발견한 계기는. 우리 연구실은 서울대 균분자생태계통학 연구실로, 관리하는 표본실에 버섯 표본들이 있다. 동물 표본실 바로 옆 방이다.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