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가장 맛있는 감자칩을 먹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감자 칩 연구는 연구자 본인들의 삶도 바꾸었다. 현재 스펜스 교수가 운영하는 통합감각
연구소
는 전 세계의 유명 레스토랑과 음식 회사와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공동 저자이자 당시 제 학생이었던 막스 잠피니는 이그노벨상을 받게 되면 아무도 자신의 연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을까 ... ...
수학적 사고력이 쑥쑥! 두뇌퍼즐 - 사고력 퍼즐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
[특집] 논란의 그를 직접 만나봤습니다, 챗GPT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저의 목표는 당신을 돕는 것입니다. 연중무휴로 이용 가능합니다.미국의 인공지능
연구소
OpenAI가 2022년 12월 1일 공개한 인공지능 챗봇 ‘챗(chat)GPT’에게 자기소개를 시켰습니다. 50자 내로 쓰라고 했죠. 5초도 지나지 않아 챗GPT는 위 자기소개를 써내려갔습니다. 49자로 분량도 딱 맞춰서요. 이 ... ...
[뉴스&인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이미 시연된 바도 있다. 2019년 이스라엘 스타트업 알레프 팜스(Aleph Farms)는 러시아
연구소
인 3D 바이오프린팅 솔루션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살아있는 동물에서 얻은 세포를 3D 프린터로 인쇄해 스테이크로 만들어내는 실험을 ISS에서 수행했다. 지구에서 소의 세포를 채취해 우주로 보내 배양하고,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DALL-E 프로젝트로 멀티모달 AI를 연구하고 있다. 임준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언어지능
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언젠가 멀티모달 방식의 거대 AI모델이 나오면 DALL-E에서 시도하지 못하는 형태의 일도 가능해질 수 있다”며 한 개의 그림을 보고 인간과 AI가 그림에 대한 평가를 주고받는 예를 들었다 ... ...
[기획] 80년 만에 흑자전환, 핵융합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80년 동안 이어진 핵융합 연구 최초로 흑자전환이 이뤄졌다. 미국 리버모어 로런스 국립
연구소
산하 국립점화시설(NIF)이 투입한 에너지보다 1.5배 가량 더 많은 에너지를 핵융합으로 만들어냈다. 2050년 탄소 중립 달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번 성과를 살펴보고 핵융합 상용화까지 남은 단계를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생산했다. 2022년 12월 5일(현지 시간)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런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LLNL) 연구시설인 국립점화시설(NIF)의 성과다. 같은 달 13일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 NIF 과학자들이 공식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했다. 순에너지를 생산했다는 말은 핵융합 반응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 ...
[과동키즈]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삶이죠”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상(Astrobiology Early Career Travel Award)을 받았다. 그렇게 NASA 제트추진
연구소
(JPL)에서 한 달 동안 방문 과학자로 지내며 실험을 배웠다. 이를 기반으로 2019년에 ‘NASA FINESST’ 장학금에도 합격했다. 미국에서 영어로 연구 제안서를 쓰기가 쉽진 않았지만 주변 교수님,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대곤(한국전자통신연구원 ICT창의
연구소
연구전문위원)스마트팜은 데이터 산업으로 변신 중 Q스마트팜에서 잎채소 외의 식물 재배는 왜 보기 힘든가요?기술적으로 가능은 하지만 쌀, 밀과 같은 곡물은 생산 단가가 높아서 현재 재배가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태양빛에 가려 보이지 않던 소행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미국 워싱턴 카네기과학
연구소
스콧 셰퍼드 박사팀은 칠레에 있는 고성능 광시야 암흑에너지카메라(DEC)로 해질녘 동안 관측한 자료에서 세 개의 소행성을 발견했지요. 원래 소행성이 몰려 있는 위치는 카메라가 태양을 향해야 관측이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