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버클리에서 방문 교수로 지냈는데 마침 그 해 봄 버클리에 있는 MSRI(수리과학연구소)에서 동역학 관련 학회 프로그램이 한 학기 동안 열렸어요. 이때 르드라삐에와 제가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김에 매일 만나서 연구했습니다. 힘들었지만 제가 지치면 르드라삐에가 저를 토닥이고 공동연구자가 ... ...
- [4컷 만화] 필름 붙이자 한겨울에도 식물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자외선 같은 짧은 파장도 포함되어 있어요. 일본 홋카이도대학교 화학반응설계및발견연구소 연구팀은 자외선 파장을 광합성에 쓰이는 빨간빛으로 늘릴 수 있는 파장 변환 물질(WCM)을 사용하면, 식물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지요.연구팀은 옛날 TV에 사용되기도 한 원소인 유로퓸●을 ... ...
- [기획] 굽고 튀기면 맛있다고? 요리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여러분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 뭔가요? 노릇노릇 구운 스테이크부터, 겉바속촉 튀김까지. 인류는 지구상에 등장한 이후, 더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끊임없이 ... 지리니Part2. [기획] 바삭바삭 튀겨라! 튀김의 과학Part3. [기획]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요리사? 분자요리 연구소 서정원 ...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태양빛에 가려 보이지 않던 소행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미국 워싱턴 카네기과학연구소 스콧 셰퍼드 박사팀은 칠레에 있는 고성능 광시야 암흑에너지카메라(DEC)로 해질녘 동안 관측한 자료에서 세 개의 소행성을 발견했지요. 원래 소행성이 몰려 있는 위치는 카메라가 태양을 향해야 관측이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뭐야? 특집•기획 中24p… 하루 650t(톤)의 그린수소를 암모니아로 전환 … (하략)56p… 연구소에서 분자요리를 연구하는 서정원 셰프의 이야기를 … (하략) 그린수소 Green Hydrogen 수소는 미래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어요. 공기의 주성분 중 하나인 산소와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 ...
- 의류학자는 왜 기상 정보에 관심을 가질까?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발표했습니다. 이 의류학자는 왜 기후 연구를 하게 됐을까요? 부산대학교 기후과학연구소엔 대학과 대학원 모두 의류학과를 졸업한 의류학자 오정미 교수가 있어요. 이곳에서 오 교수는 기후변화와 패션의 관계를 연구하지요. 대학 시절 오 교수는 멋지게 디자인한 옷을 어떻게 하면 더 잘 팔지 ... ...
- 수학적 사고력이 쑥쑥! 두뇌퍼즐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논리력을 키우는 스도쿠,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노그램과 마슈, 문제해 결력을 높이는 사고력 퍼즐까지! 에서만 만날 수 있는 고품격 퍼즐을 지금 바로 풀어보세요.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SKT와 KT 등 통신사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정부출연연구소를 중심으로 양자암호통신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필자를 비롯한 한국 연구진은 현재 실제 인터넷망에 양자암호통신을 적용해 통신 보안성을 한층 높이는 데 활용하는 한편, 국제 표준기술 확립에도 ...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일본인으로 살았다? 우장춘은 1950년 일본을 떠나 한국행을 결심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소장으로 취임했다. 광복 후 과학기술을 기초부터 새로 세워야 하는 현실에서 우장춘과 같은 인재가 필요하다고 여긴 이들이 ‘우장춘 박사 환국 추진위원회’를 꾸려 그의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일부일처제의 가면을 벗기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약 30분 이상 미동이 없을 경우, 잔다고 간주하고 그날의 행동 데이터 수집을 마치고 연구소로 돌아간다. 그들이 일부일처제를 유지하는 이유 이쯤 읽었을 때, 야생 동물 연구에 흥미는 가지만 정작 긴팔원숭이라는 이름은 생소한 독자들이 있을 것이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영장류학자들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