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리호] 누리호 발사, 3일간의 현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지상국에서도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최초로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연구원들은 ‘시간 정보 동기화’부터 했습니다. 인공위성과 지상국 간의 시간을 똑같이 맞추는 겁니다. 지상국에서 동기화 명령을 내보낸 것을 인공위성이 받아 수행하고, 이후 동기화를 수행했다는 피드백을 다시 지상국으로 ... ...
- [뉴스&인터뷰] IBS 기후물리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영향임을 밝혔다고 설명했다.이날 랩투어에서는 어떻게 석순에 그렇게도 먼 과거의 기온 정보가 들어있을 수 있는지, 연구단이 석순의 어떤 단서를 포착해 과학적인 증거를 확보했는지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 수 있었다. 강연이 끝난 뒤 노연희 독자(경북 포항제철고 1학년)는 상기된 얼굴로 “과학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정밀 의료가 보편화된 세상을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의료가 보편화되려면 수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 기반을 쌓기 위해 우리는 ‘하나의 작은 것, 세포에 집중한다’는 신념을 기업명에 담았습니다.” 류동환 엘엠엔틱바이오텍 대표(DGIST 20학번)는 회사 이름을 ‘LMNTIC(엘엠엔틱)’으로 정한 이유를 이같이 설명했다. 엘엠엔틱은 ‘원소의(elementic ... ...
- [메타버스 활용법] 액션 모드와 AR 필터로 신기한 영상 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물론 AR 필터로 현실의 교실을 촬영할 때는 주변 친구들의 얼굴이나 이름, 학교명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합니다.(!학교에서 영상을 촬영할 경우, 반드시 보호자와 선생님께 디지털 기기 사용과 관련해 미리 허락을 구하세요.!) ‘액션’ 기능은 제페토의 캐릭터가 실제 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무성생식을 하는 것을 포착했다고 발표했지요. 무성생식을 하면 부모와 같은 유전 정보를 가진 자손이 태어나기 때문에, 유전자의 다양성이 줄어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생식 과정이 단순하고, 다른 성별의 개체가 필요 없어 빠르게 종족을 번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대수학을 이용해 기하학을 연구하기 위해선 우리가 연구하고 싶은 기하학적 대상의 정보를 정확히 옮기는 일이 매우 중요하답니다. 세 번째 질문 대수학과 기하학의 통합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인문학자 : ‘scientia penitus nova’ 데카르트가 대수학과 기하학의 통합을 꿈꾸면서 했던 말이에요. ... ...
- 팩트체크1. 오염수 처리 시설이 오작동 일으켰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2021년 공개된 영상에서는 원자로 내부가 파손된 모습도 등장했다. 일본 정부가 제공하는 정보, 발표한 정화 계획을 과연 믿을 수 있는가 의심스러운 이유다.알프스에서 방사성 핵종을 거르는 필터를 제 때 교환하는지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알프스는 이온교환수지필터로 이온을 교환해 핵종을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진화된 로봇 군단 현실에서 얼마나 구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이런 방식을 ‘아날로그 홀로그램’이라고 부릅니다. 원리는 간단하지만 사물의 3차원 정보를 모두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양이 어마어마하죠. 게다가 완벽한홀로그램을 구현하려면 240개 이상의 레이저 빔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구현이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간혹 아이돌 ...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고전물리학에 기반해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이라면 양자통신은 양자물리학에 기반해 정보를 전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통신 기법이다. 원리는 그동안 내가 연구해온 기술들과 완전히 달랐지만, 양자통신 시스템이라는 큰 그림을 그리는 데는 지금까지의 연구 경험이 유용하리라 생각했다. 그렇게 ... ...
- 3중으로 안전하게 나노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귀중품에 붙여 이름표를 새기거나, 개미, 머리카락, 세균처럼 작은 물체나 생물에 부착해 정보를 담을 수 있어요. 김 교수는 “머리카락이나 반도체와 같이 작은 물체에도 이름 붙일 수 있어, 사물인터넷(IOT*) 실현에 도움될 것”이라며 “개미나 대장균 생명체에 붙이면 아주 작은 생물도 하나씩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