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알고 있다. 이를 인정하고 뛰어난 시각 회로를 가진 조류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하면 시각 정보 처리에 더 뛰어난 바이오컴퓨팅을 이룰 수 있을지도 모른다(그러니 조류의 뇌를 ‘새대가리’라고 비하할 일만은 아니겠다). 나이 들면서 좋아지는 미래의 바이오컴퓨터 바이오컴퓨터를 생물학이나 ... ...
- [특집]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끊겨져 있는 단면도 확인할 수 있어요. 이 층이 지표면에 있을 당시에 지진이 일어났다는 정보를 담고 있죠. 최 센터장은 “폭우가 내리면 지표의 지층이 침식돼 버리기 때문에 침식되지 않은 지층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영상은 검색보다는 알고리즘이 나를 이끄는 대로 다음 영상을 자동 재생해줘요. 디지털 정보의 홍수 속에서 내가 보고 싶은 영상을 검색하고 찾을 시간에 알고리즘이 추천해주는 다음 영상을 보여주니 편리하죠. 세 번째 이유는 제작과 공유가 쉽다는 것이에요. 짧아서 영상의 줄거리나 구성이 ... ...
- 개념 이해부터 수행평가까지, 챗GPT 수학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역사를 챗GPT가 바로 알려줘서 편했다”면서도, “수학자의 국적이나 연도가 잘못된 정보도 섞여 있어서 검증을 꼼꼼히 했다”고 말했다. 수학 수행평가의 단골 주제는 수학을 배우는 이유 찾기다. 이때도 챗GPT가 해결사다. 수학이 쓰이는 다양한 사례를 제시해줄 수 있어서다. ‘사인 법칙을 ... ...
- 토론 1. 챗GPT, 학교에서 허용해도 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되려면 발전하는 기술을 빠르게 접해야 해요. 단점만 생각하고 막연히 부정하면 정보 사회에서 도태됩니다. 두 번째는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예요. 챗GPT를 이용하면 검색 시간을 줄일 뿐 아니라 챗GPT와 관련된 확장 프로그램을 쓰면 엑셀, PPT를 순식간에 만들 수 있어요. 이런 편리함을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GPT를 호출한 뒤, 한 단어에서 질문과 답변을 3번 주고받으면 그 내용을 요약해 필요한 정보는 모두 기억하도록 했어요. 즉 GPT가 기억하는 단어 수를 넘지 않도록 계속해서 중요 내용을 요약하는 거죠. 따라서 이용자가 과거에 한 어떤 질문과 대답도 핵심 내용은 언제든 파악할 수 있어요. 이번 연구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인간 기자는 AI 기자에게 정보 분석을 맡기고, 이렇게 번 시간을 이용해 깊이 있는 취재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AI로 대체할 수 없는 기자가 되려면, AI가 대신 할 수 없는 일을 해야 한단 거죠.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결맞음 상태를 계산에 활용하는 ‘양자 컴퓨터’처럼, DNA나 단백질 같은 분자의 특성을 정보 저장이나 처리에 이용한다는 발상이었다. 뇌세포를 사용한 바이오컴퓨터를 제작하려는 계획은 또 있다. 미국 인디애나대 블루밍턴캠퍼스 펭 구오 교수팀은 뇌 오가노이드를 사용해 AI 기기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30%. 단일접합 태양전지가 이론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에너지 변환 효율의 최대치입니다. 이에 근접한 효율을 불과 10여 년 만에 달성한 태양전지가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입니다. 2006~2020년 전 세계 논문을 수집한 네덜란드 라이덴대 데이터에 따르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관련 논 ... ...
- 영재학교 학생이 말하는 챗GPT 주의사항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절대 안돼요! 답변이 맞는지, 그 근거는 무엇인지, 출처는 확실한지 확인해보고 추가정보를 찾아보면서 검증해야 해요. 답변을 더 나은 생각을 하기 위한 실마리로 보면 좋겠어요. 김도훈 또 답변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은지도 생각해봐야죠. 편견이 담겨 있을 수 있거든요. 김수환 맞아요.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