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철
지하철도
지하도
국철
d라이브러리
"
지하철
"(으)로 총 45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창조하는 디자이너 3. 나도 이런 디자이너가 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알린 선구자다.김교만(1928∼1998)88 서울 올림픽의 포스터를 디자인한 시각 디자이너.
지하철
3, 4호선 역들의 아름다운 실내 디자인도 그의 작품이다. 한국의 전통미를 디자인에 살린 우리나라 시각 디자인의 선구자.“21세기의 디자인은 우리가 바꾼다. 현대를 대표하는 3대 디자이너”필립 ... ...
끼기긱~ 소음 잡는 조용한 과학鐵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오빠’란 말인가! 김탐정은 ‘오빠! 오빠! 오빠!’ 말만 속으로 되뇌었다.쓸쓸히
지하철
2호선을 타고 집으로 향하는 김 탐정. 운 좋게 신형 전동차가 도착했고 김 탐정은 집전장치가 달리지 않은 T-카를 골라 탔다. 곡선 구간에서만 스킬 소음이 간간히 들리는 조용한
지하철
. 그래서일까? 맞은편에 ... ...
엘리베이터 안에서 휴대전화 '먹통'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휴대전화 전성시대다.
지하철
안, 산, 바다 등 언제 어디서나 휴대전화를 쓸 수 있다. 심지어 해외로밍서비스로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 바로 통화할 수도 있다. 하지만 휴대전화의 전파가 미치지 않는 곳이 우리 생활 아주 가까운 곳에 있다. 바로 엘리베이터 안이다.엘리베이터를 탔을 때 ... ...
어과동이 선정한 2006 최고의 과학발명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젖지 않는 우산비가 오는 날 우산에 묻은 물기 때문에 바닥이 흥건해지기 일쑤다. 버스나
지하철
에서는 더더욱 불편하다. 나노기술을 이용한 젖지 않는 우산을 쓴다면 빗물 때문에 바지를 적실 일은 없다. 자체 진동으로 물기를 털어 버릴 수도 있다. 감정이 전달되는 옷 허그 셔츠멀리 떨어져 있는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와이브로는‘선 없는 광범위 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의 줄임말이다. 위 사진처럼
지하철
이나 버스 안에서도 초고속인터넷을 즐길 수 있다.걸어다니며 채팅도 한다지?수업이 다 끝난 후 즐거운 마음으로 집에 가는 동우. 그 때 동우의 휴대전화에서‘영국의 메기로부터실시간 채팅 제의가 ... ...
습지에 한번 빠져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특히 서울에서 사람의 손길이 묻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습지에 가 보는 것은 어떨까요.
지하철
5호선 둔촌역에 내리면 걸어갈 수 있는 곳이 둔촌습지랍니다. 이 곳은 산자락에서 솟아난 지하수가 땅에 고여 크고 작은 물웅덩이를 만들며 4200평이나 되는 습지를 이뤘어요. 땅에는 오리나무와 ... ...
유럽 환경지킴이 3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지하철
이 완공됐다 해도 문화재 복원 비용이 공사비의 몇 배가 듭니다. 현재 로마에는
지하철
2개 노선이 있고 3개째 공사 중인데, 앞으로는 더 이상 노선을 추가하지 않기로 했다는 얘기를 들었어요.로마는 1900여년 전 네로 황제가 이뤄놓은 도시계획을 지금도 거의 그대로 쓰고 있는 셈이에요. 가장 ... ...
2. 모양은 같아도 기술은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많은 사람을 태울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이렇게 바이모달 저상굴절차량은 버스와
지하철
의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다. 또한 차세대 무공해 동력원인 연료전지를 사용해 환경까지 고려했다. 2009년경 시험 제작된 차량이 나올 예정이다. 5. 택시 닮은 소형궤도열차버스를 닮은 열차만 개발되고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나눠 생각해 볼 수 있다. 개착식은 해당 부지 전체를 지상에서 파내려가는 방식으로
지하철
역을 건설하는 작업과 비슷하다.먼저 기지의 벽면이 될 위치에 지상에서 구멍을 뚫어 땅을 파들어갈 깊이까지 철제 H형 기둥을 설치한다. 땅을 파내려가면서 흙으로 된 토사 부분은 길이가 긴 철 구조물 ... ...
서울 아파트 값, 왜 오르기만 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가격은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올라가는 것이 일반적이다.주변에
지하철
역이나 공원이 생겨 생활환경이 개선되면 더 많이 오른다. 서울숲이 만들어진 뒤 가격이 많이 상승한 성동구의 아파트가 좋은 예다. 강남구처럼 좋은 학군의 아파트는 꾸준히 상승한다. 물론 정부정책에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