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철
지하철도
지하도
국철
d라이브러리
"
지하철
"(으)로 총 45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유선으로 연결해 어디서나 현장감 있는 장면과 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는 것이 장점.
지하철
이나 버스를 타고 이동할 때에도 기기를 얼굴에 쓰고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2∼3인치의 소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휴대형 멀티미디어 기기가 개발되기는 했지만 이를 디스플레이용 안경과 일체화한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우측통행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철도는 아직 좌측통행이 남아있다. 철도의 연장선인
지하철
1호선의 통행방향이 나머지와 반대인 것도 그래서다.현재 좌측 통행인 나라를 보면 대부분 섬나라이거나 험준한 산맥으로 국경이 나뉘어 통행이 어려운 나라들이 많다. 굳이 통행방향을 바꾸지 않아도 되는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넘으면서 정부는 ‘석유 배급제’ 를 실시했다. 자동차는 폐차한지 1년이 넘었고,
지하철
도 예전 택시처럼 비싸 그는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동료가 부럽다. 10시가 넘으면 불을 끄고 한여름에도 선풍기조차 쓰지 못한다. 그 많던 PC방이 모두 문을 닫았다. 인터넷에서는 ‘조선시대처럼 살아가기’ 가 ... ...
균열 스스로 진단하는 똑똑한 콘크리트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건설할 때 진가를 발휘했다. 연구성과로 국제특허를 받았고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
지하철
시공에도 응용하고 있다. 콘크리트 균열 연구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아 이곳은 1999년부터 국가지정 균열제어연구실로 지정됐다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세상 풍경이 과연 어떻게 변할까? 우선 아침·저녁으로 통학하는 길에 1시간씩 버스나
지하철
안에서 시달릴 필요가 없어진다. 아파트에 사는 학생들은 어머니께 ‘학교 다녀오겠습니다!’라고 외친 후 베란다를 박차고 뛰어오르며 학교로 향하면 된다. 아버지는 매일 아침 출근시간마다 주차된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현재 세계 최장의 해저터널인 세이칸터널을 개통했고, 한국 역시 한강 하저터널 공사(
지하철
5호선 여의도-마포 구간) 등을 통해 해저터널 완공에 필요한 기술력을 갖췄기 때문이다.다만 한일터널이 수백km에 이르는 해저터널이기 때문에 시공시 고려해야 할 몇가지 요소가 있다. 우선 방수 기술이다.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흘려보내 도시 생태계를 복원하려는 실험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수도권
지하철
과 대구
지하철
일부 구간에서 지하수 자원의 활용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래 삶을 확 바꿀 10대 웰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02. ... ...
내 부모는 예외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식하는 치료법도 활발히 연구중이다.비정상 단백질 헌팅턴의 위력길거리나
지하철
에서 몸이 다소 뻣뻣해 보이고 종종 몸을 움찔하는 등 부자연스럽게 행동하는 사람을 본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이미 헌팅턴병 환자를 본 것이다. 이 병은 서서히 진행하면서 증상이 하나씩 추가되는 양상을 ... ...
금속과 코일의 숨바꼭질 한판승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미국의 세계무역센터가 9.11 테러로 무너진지 벌써 2년이 훨씬 넘었다.모험이와 슬기는 미국에 살고 있는 친척을 만나러 가기 위해 공항에서 비행기 탑승 시간을 ... 저장된 정보가 지워지거나, 오랫동안 사용하면 마찰로 인해 검은색 띠가 닳기도 한다.
지하철
승차권도 마찬가지 원리다 ... ...
시민 법의학 그림으로 보는 사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화성연쇄살인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살인의 추억’ 이나 개구리소년사건, 대구
지하철
사건 등이 세간의 화제가 되면서 법의학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하지만 아직까지 법의학 자체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게 사실이다.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법의학계의 대부로 통하는 문국진 교수가 쓴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