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백
진공증류
증류
공허
진공도
텅 빈 곳
d라이브러리
"
진공
"(으)로 총 9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아주 가까이 세워보자. 이때 주변은 어떤 전자기력도 작용하지 않고 텅 비어 있는
진공
의 공간이다.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질까? 두 금속판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생겨나 가까이 움직인다.이 힘은 어디에서 생겨난 걸까. 만유인력은 아니다.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이다. 판의 모양 등 다른 요인이 있긴 ... ...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어 다양한 환경 속에서 크고 단단한 부품을 시험할 수 있다. 공기의 압력을 높이거나
진공
상태로 만들어 흡기다기관(엔진에 공기를 공급하고 양을 조절하는 부품)을 시험하는 장비도 있다. 그 외에도 압축력이나 전단력, 횡력 등 다양한 힘에 저항하는 성질을 시험하는 장비가 마련돼 있다.이런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먼지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1930년대 처음 밝혀졌다. 그 전까지는 우주공간이 완벽하게
진공
이라고 생각했다. 스위스 태생의 미국 천문학자 로버트 트럼플러는 1930년 구상성단의 공간분포를 관측했는데, 이에 따르면 지구에서 멀리 있는 성단일수록 지름이 크게 나왔다. 트럼플러는 이에 대해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부분이 분리된채로 모터가 작동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액체 헬륨이나 액체질소를
진공
으로 둘러싸 단열시키면서 정지 한 부분과 회전하는 부분 사이를 오갈 수 있게 해 주는 부품이 있어야 한다.정 교수는 고속으로 회전할 때도 냉각 성능이 그대로인 축대칭 구조의 소형 냉동기를 이용했다. 또한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손상을 입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외에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드라이아이스와
진공
관을 이용해 인공토네이도를 만들었다.세계에서 가장 든든한 토네이도 1900년대 초, 스페인 과학자들은 태양에너지와 바람에너지를 동시에 잡는 ‘태양굴뚝’을 고안했다. 커다란 굴뚝 주변에 온실을 ... ...
동문과 관찰지도교사의 힘 청주교대 과학 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편이다. 하지만 찾아낸 답은 정답인 경우가 많다. 특히 관찰력이 뛰어나다. 초코파이를
진공
용기 안에 넣는 실험에서 대부분 학생은 “빵 부분은 큰 변화가 없지만 마시멜로는 매우 커졌다”고만 적었지만, 기광이는 “단단한 정도가 낮은 마시멜로는 압력이 낮은 곳에서 부피가 커지기 쉽다”고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찾을 수 있다고 기대해서는 안 됩니다. 전자와 만나 바로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진공
에서 실험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면 매우 안정할 수 있고 관찰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반물질은 우리 일상생활에서도 쓰이고 있다. 양전자단층촬영(PET)이 대표적인 예로 양전자를 내놓는 방사성 동위원소 ... ...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인도됐다.총조립 뒤 전자파 간섭 여부를 확인하는 전자파환경시험, 우주환경(고
진공
, 고온·저온)에서 위성성능을 검증하는 궤도환경시험, 발사 시 극심한 진동·충격·소음에서 위성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발사환경시험을 모두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앞으로 최종운용 및 적합성시험을 완료하고, ... ...
알쏭달쏭 표준을 잡아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하지만 1983년 국제도량형총회에서 빛의 속도를 바탕으로 기준을 새로 바꿨어요.
진공
에서 빛이 299792458분의 1초 동안 간 거리를 1m로 정했답니다.*지구자오선 : 지구를 남극과 북극을 지나는 평면으로 잘랐을 때, 그 평면과 지구 표면이 만나는 가상의 선.단위와 함께 놀자~!질량과 길이의 재미있는 ... ...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겹눈이 그 예. 꿀벌을 찍은 이 전자현미경 사진은 벌의 세세한 몸을 잘 보여주기 위해
진공
상태에서 금으로 코팅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거치지 않고 자연상태 그대로 관찰했다. 덕분에 솜털 하나하나까지 세밀하게 살아났다.[청벌란 스파이크 워커]Spike Walker/Wellcome Images완벽한 공 모양을 이룬 성체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