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테"(으)로 총 1,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는 웨스트버지니아주의 그린뱅크 전파천문대의 지름 26m짜리 안테나를 이용해 고래자리 타우 별과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별을 탐색했다. 당연히 수 광년 떨어진 항성 두 개를 조사하는 것으로 외계생명체의 흔적을 찾을 수는 없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앨런 망원경 집합체(ATA ... ...
- 교육 로봇은 어떻게 어린이와 친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캐릭터들이 어떤 표정과 몸짓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지 연구했죠. 이후 테가를 실제로 만들 때엔 고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은 부품을 쓰면서도, 로봇이 최대한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노력했답니다. 로봇의 말투도 중요해요. 어린이는 로봇과 같은 딱딱한 기계식 말투를 잘 못 ... ...
- 후보6. 수학자 마음 사로잡은 비둘기집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때 모두 종류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를 더 집으면 이 양말은 4종류 중 하나일 테니까 앞서 집은 4개 중 하나와 짝이 맞을 겁니다. 그래서 5개만 집으면 최소 하나는 짝이 맞게 되는 겁니다. 양말의 종류가 비둘기집, 양말은 비둘기인 셈이죠.이건 맛보기입니다. 오른쪽에 더 복잡한 문제를 ...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파 프롬 홈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않나, 불바다에 물회오리, 거기다가 천둥, 번개까지 정신이 하나도 없어. 반드시 미스테리오와 함께 이 악당들을 물리칠 거야.혹시 개봉에 앞서 공개됐던 예고편이 24시간 동안 조회수 1억 3500만 회를 기록했다는 소식 들었어? 그 정도로 다들 나 스파이더맨을 기다리고 있나 봐. 한층 더 성장한 내 ... ...
- [핫이슈] 유산균 프로젝트, 똥일기 쓰는 친구들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시기엔 1000억 마리까지 늘어난답니다. 이때는 유익균인 비피더스균이 많고, 유해균인 박테로이즈 등이 적어 인생 중 유익균의 비율이 가장 높을 때지요. 그러다 어린이기로 접어들고 잘못된 식습관의 영향으로 유해균의 비율이 높아져 프로바이오틱스를 챙겨 먹어야 한답니다.차장님은 “특히 ...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이에 따라 전기 소비량도 늘어납니다. 전기를 많이 소모할수록 배터리가 빨리 닳을 테니 로봇이 오랫동안 움직이기 위해서는 용량이 큰 배터리를 장착해야 합니다.하지만 그러려면 배터리가 크고 무거워지겠죠. 배터리가 무거워질수록 로봇이 움직이는 데 더 큰 힘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더 많은 ... ...
- 안혜연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소장, SW 업계에서 성장 원동력은?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정말 흥미로운 일이고요. 우리가 SW 기술을 이용하는 한 보안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질 테니 보안 업계의 전망도 매우 밝아요. 자신에게 맞는 SW 회사를 어떻게 찾나요?우선 현장으로 가는 게 중요해요. SW 분야가 매우 넓으니 직접 경험해 보고 본인에게 맞는 분야를 찾아야 해요. 저도 무선 ... ...
- 상어가족보다 힘센 동물은 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어업으로 점점 사라지고 있거든. 우리가 사라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려줄 테니, 친구들이 사람들을 말려 줘! 상어가 줄어들면 산호초도 줄어든다?백상아리와 고래상어, 귀상어 등 앞서 다룬 상어 대부분이 사라질 위기예요. 2014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당시까지 발견된 상어 465종 중 7 ... ...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누군가 말을 거는 소리에 돌아본다. “무슨 일인지 모르겠지만 내 피크닉 요리를 나눠줄 테니 기운 내게.” 그 음식을 본 피터팍은 외쳤다. “이거다! 다음 요리는 이걸로 정했어!” 팀 원들이 싸우지 않게 햄 샌드위치를 한 번의 칼질로 정확히 반으로 잘라야 하는데 과연 가능할까요? 아주 ... ...
- 과학은 이해다_정종태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결합에너지가 높을수록) 사람들(핵자들)의 수중에는 돈(질량)이 없다. 돈이 은행에 모일 테니까 말이다. 성인인 기자에게도 한 번 들으면 잊을 수 없는 찰진 비유였다. 정 교사는 “물리 개념은 깨닫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학생들이 이해한 모습을 보면 더욱 큰 기쁨을 느낀다”며 “그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