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테"(으)로 총 1,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동TV] 수프라이즈~수학자들은 24가족?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가족’이 되고 싶다면 열심히 공부해보자. 의외로 그 길은 그렇게 멀지 않은 곳에 있을 테니…. “띵동~. 나랑 같이 수학 연구할래요?” 방랑자로 알려진 수학자이자 소문난 수학 사랑꾼 에르되시 팔! 그는 수학자들을 찾아다니며 공동연구하는 것을 누구보다 즐겼다. 그래서 무작정 수학자를 ... ...
- 보잉 737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그렇지 않으면 항공기가 지상에서 활주할 때 엔진의 가장 밑단이 지면과 닿아 끌릴 테니까요. 이런 설계 변경은 비행기 주변의 공기 유동을 변화시켰습니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에서 엔진은 주날개 하부에 장착돼 공기의 저항인 항력만 받을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설계에서는 엔진을 감싸는 ... ...
- 과학은 이해다_정종태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결합에너지가 높을수록) 사람들(핵자들)의 수중에는 돈(질량)이 없다. 돈이 은행에 모일 테니까 말이다. 성인인 기자에게도 한 번 들으면 잊을 수 없는 찰진 비유였다. 정 교사는 “물리 개념은 깨닫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학생들이 이해한 모습을 보면 더욱 큰 기쁨을 느낀다”며 “그 ... ...
- 대륙 스케일 자랑하는 중국판 SF '유랑지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위기에 처합니다. 설령 부서지지 않더라도 목성의 조석력이 지구의 내부를 휘저어 놓을 테니 지진이나 화산 같은 각종 재해가 일어나 지하도시가 위태롭습니다. 적색왜성을 새로운 태양으로?영화에서는 기발한 방법으로 이 위기를 극복합니다. 어떤 방법인지 궁금하신 분은 직접 영화를 보시고,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넌 곧 타임머신을 타게 될 것이라고 말해줄까? (웃음) 농담이고, 모든 건 다 잘 될 테니까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말라고 할 것 같아. 계획한대로 일이 잘 안 돼도 그것이 완전히 끝은 아니라고 말이야. 10대의 개럿은 그 말을 절대로 못 알아듣겠지만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기뻐하면서 새로운 거짓말을 찾아내 보는 건 어떨까요? 그 속에 새로운 수학이 숨어 있을 테니까요. 그동안 속여서 미안합니다, 하지만 저는 여러분이 쉽게 개념을 익힐 수 있도록 노력했을 뿐이에요. 앞으로도 오직 학생을 위한 거짓말만 할 것을 맹세할게요. 그리고 시험을 칠 때는 학습 단계에 ... ...
- [따끈따끈 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엄청나게 차이가 크니까요.2006년 베트남 수학자 반 부와 그해 필즈상을 받은 호주 수학자 테린스 타오가 0.999를 0.939로 낮추는 데 성공합니다. 두 수학자는 1년 후 n이 충분히 크면 0.750001n보다 작다는 것도 증명했지요. 사실 타오는 수학계의 모차르트라고 불리는 유명한 수학자입니다. 부는 베트남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수학 사용법 지오지브라의 큰 장점은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테면, 다른 사람이 만든 자료뿐 아니라 수식을 이것, 저것 만져보면서 수학적으로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실험해 볼 수 있다. 즉 계산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게 아니라 실험적인 행위를 통해 또 다른 수학적 영감을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7번째 줄에서 113, 115, 117, 118번이 비어 있었는데, IUPAC이 각각 니호늄(Nh), 모스코븀(Mc), 테네신(Ts), 오가네손(Og)으로 주기율표 등재를 공식 승인하면서 2016년에야 7주기 118개 원소로 이뤄진 주기율표가 완성됐다. 지금부터 발견될 원소는 8주기에 속하게 된다. 쌓음 원리에 따르면 7주기 원소는 7s, 5f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어느 곳에서도 미분이 불가능한 함수의 한 종류로, 1904년에 일본 수학자인 타카기 테이지가 발견했어요. 이후 1980년대에 영국 수학자 데이비드 톨이 자신의 논문에서 블랑망제 함수라고 부르면서 별칭으로 굳어졌죠. 블랑망제라는 이름을 생각해낸 건 톨의 동료인 존 밀스였는데, 19세기 빅토리아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