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껍데기
각질
피혁
가죽
등딱지
껍찔
깍지
뉴스
"
껍질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근육처럼 부드럽게 움직이는 소프트 인공근육, 인간형 로봇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개발한 인공근육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작동한다. 두께가 0.5㎝ 이하인 납작한 고무
껍질
안에 액체상태의 절연체를 가득 채우고 양끝에 양(+)극과 음(-)극을 연결한 형태다. 여기에 전압을 걸어 주면 양극에서 음극 방향으로 생긴 전기장에 의한 힘(맥스웰변형력)으로 두 전극 사이의 액체가 전극 ... ...
35억년 전 생명 탄생 증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부분은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가 반응해 갑자기 굳어서 생긴 것이며, 생명체의
껍질
처럼 보이는 것은 열수에서 배출된 흑연이라고 설명했다. 쇼프 교수의 이번 연구는 이 주장에 반박해 호주 미화석이 생명체가 맞다는 새로운 증거를 내세운 셈이다. 쇼프 교수의 화석뿐 아니라 선캄브리아기의 ... ...
버려지는 양파
껍질
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12.05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양파
껍질
을 이용해서 실험 장치를 만들었다. 금 전극 위에 양파
껍질
을 입히고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고무(PDMS) 등을 덧붙인 뒤 전선을 이었다. 그 결과 에너지 변환 효율이 61.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뭇잎이 바람에 움직이는 것 정도의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 ...
거북을 먹으려는 악어
팝뉴스
l
2017.11.20
잡혔다. 악어는 거북을 입에 무는 데는 성공했지만 더 이상 진척이 없다. 이빨로 거북의
껍질
을 깰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거북도 속수무책이다. 악어가 놓아주지 않으니 이 위험천만한 상황을 그냥 견뎌내야 할 처지다. 영상은 미국 플로리다에 있는 파카해치 주립 공원에서 촬영되었다. 아쉽게도 ... ...
동그라미 모양의 숫자 ‘0’, 그 뿌리는 3세기!
수학동아
l
2017.10.29
Oxford 제공 바빌로니아인은 숫자 0을 막대 위에 역삼각형을 그린 모양으로, 마야인은 조개
껍질
모양으로 나타냈습니다. 그렇다면 동그라미 모양의 숫자 ‘0’은 언제 등장했을까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보들리안도서관 연구팀은 점 중앙에 작은 구멍이 뚫린 모양새를 가진 ‘0’이 적힌 인도 ... ...
요즘 SNS에서 핫한 ‘핑크 뮬리’가 뭐길래?
동아사이언스
l
2017.10.28
라틴어로 ‘머리카락 같은’이라는 뜻이다. 핑크뮬리는 벼나 보리처럼 열매를 싸고 있는
껍질
의 끝부분에 털 모양처럼 자란 ‘까락’이 있다. 길이 4~8㎜인 까락들은 수많은 꽃과 함께 핑크뮬리가 신비로운 분위기를 풍기도록 한다. 핑크뮬리 꽃을 확대한 사진. 머리카락처럼 가느다란 까락이 눈에 ... ...
호주 사막 공원의 찬란한 밤하늘
팝뉴스
l
2017.10.25
위에 솟아 있는 석회암 기둥은 피나클이라 불린다. 사람 크기이며 오래 세월을 거쳐 조개
껍질
로 만들어진 것이다. 지난달 촬영된 사진에는 우리 은하(Milky Way Galaxy)와 목성(Jupiter)그리고 토성(Saturn)도 모습을 드러냈다. 거문고자리의 베가 등 유명한 별들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아무도 보지 ... ...
[팔라우에서 온 힐링레터] 오징어의 조상, 앵무조개를 만나다
2017.10.21
사진자료와 추억을 만들어 주었다. 호랑이가 죽어서 가죽을 남기듯 앵무조개는 아름다운
껍질
을 인간들에게 남기고 떠난다. 수 억년의 세월을 담은 앵무조개의 모습에 자연의 경이를 느낀다. ... ...
두리안 ‘똥 냄새’의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0
약리 작용을 하는 성분을 골라내려 한다. 티안 교수는 “과거 미국 연구진이 주목나무
껍질
에서 항암제의 원료 성분인 ‘택솔’을 추출한 것처럼 두리안에서도 유용한 성분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2017 노벨 화학상] ‘극저온전자현미경’ 개발 자크 뒤보쉐, 요아킴 프랭크, 리처드 헨더슨(2보)
동아사이언스
l
2017.10.04
단서를 얻을 수 있게 됐다. 미국 퍼듀대 연구진은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지카바이러스
껍질
의 특이한 글리코실화 패턴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지카바이러스는 크기가 너무 작아 광학현미경으로는 관찰할 수 없다. 올해 7월에는 MRC분자생물학연구소 연구진이 알츠하이머성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