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29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 삼성바이오로직스, 5개월만에 누적 수주액 3조원 돌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연간 수주액의 60%인 3조 2525억원의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다음달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제약·바이오 박람회인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에 참가할 예정이다. ■ 연세대 의대는 성학준·유승은 의학공학교실 교수와 김주은 박사과정생, 정세용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 ...
美 '원전 강국 재건' 시동…"원전 수출시장 한국 존재감 커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1997년부터 5년마다 원자력 이용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수립한 계획이다.
미국
주간지 블룸버그비즈니스위크도 같은 이유로 15일 "원전 수출에선 비교적 신흥국인 한국이 수익성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비즈니스위크가 전 세계에서 계획, 제안된 ... ...
KAIST, 암 조직 절개 없이 3D 가상염색 구현… "병리 진단 방식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장기의 병리 조직에서도 일관된 성능을 확인했다. 토모큐브사의 HT 장비를 활용해 한국과
미국
병원에서 공동 실험을 진행해 기술의 병리 연구 현장 적용 가능성도 검증했다. 연구를 이끈 박용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병리학의 분석 단위를 2차원에서 3차원으로 확장한 매우 의미 있는 성과”라며 ... ...
인간의 종료 지시 거부하는 AI 사례 첫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우회하는 시점과 그 이유를 이해하기 위한 추가 실험을 진행 중이다. 한편 2024년 5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메타의 AI 모델 '시세로'가 전략게임에서 다른 플레이어를 배신하고 허세를 부리는 등 인간을 속이는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시세로는 게임 도중 시스템이 ... ...
스스로 조립되는 나노입자 전과정 관찰…'스케일링 이론' 가설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에 서명은 KAIST 교수, 조지프 P. 패터슨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화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매터(Matte)에 12일 온라인 게재됐다. -DOI: 10.1016/j.matt.2025.10214 ... ...
외계 행성 생명체 증거 반박…美연구팀 한달만에 "확인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K2-18b를 두고 불거진 생명체 단서 논쟁은 향후 몇 달 내 종결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천문학자들이 근적외선 관측을 수행하고 있으며 여기에 포함된 데이터들이 K2-18b에 대한 혼란을 해소하는 증거들을 담고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유전자가위로 질병 고치는 시대 '성큼'…국내선 임상도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첫 등장할 당시만 해도 정확도가 낮고 DNA 손상 위험이 우려됐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미국
과 유럽에서는 다양한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 국내선 임상도 어려워 국내에선 김진수 KAIST 교수를 비롯한 다수의 유전자가위 권위자를 보유하고 있지만 임상시험도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 ...
꿀벌은 힘겹다…러우 전쟁·조명·미세플라스틱까지 괴롭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수분 매개자인 꿀벌이 갑자기 집단으로 사라지는 꿀벌 '군집붕괴현상(CCD)'은 2006년
미국
에서 처음 보고됐다. 2010년대에 전 세계 꿀벌 30~40%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사정도 다르지 않다.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2022년 9월~11월 국내에서 사라지거나 폐사한 꿀벌은 78억 마리에 달해 ... ...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빠른 속도의 기후변화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5.25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차세대소형위성2호가 2024년 7월 24일 관측한
미국
루이지애나주 아차팔라야강 일대. 나뭇잎처럼 자라는 왁스 호수의 삼각주를 볼 수 있다. KAIST 제공. 우주연구원은 국립공원연구원 기후변화연구센터와 협력해 차세대소형위성2호 영상자료를 기후변화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잔디처럼 자라는 조류가 대형 갈조류 성장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5
잔디조류는 김, 톳, 우뭇가사리처럼 해저에 납작하게 퍼지며 자라는 해조류다.
미국
메인만은 최근 수온이 높아지면서 대형 갈조류 숲의 크기가 줄어들고 있다. 연구팀은 메인만이 있는 메인주 북동주의 차가운 해수 지역과 북동부의 따뜻한 해수 지역에서 대형 갈조류 숲을 분석했다. 분석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