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진망원경"(으)로 총 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진으로 돌아보는 허블 우주망원경 25년의 기록 2015.04.23
- 1990년 4월 24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실려 지구 상공 610km 궤도에 올라간 허블 우주망원경이 올해로 25주년을 맞았다. 허블 우주망원경은 적색편이를 통해 우주 팽창의 증거를 밝혀낸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의 이름을 땄다. 망원경의 길이는 12.9m, 중량은 11.6t이며 구경은 2.4m다. 지구 ... ...
- 가장 무거운 별 후보, 태양질량의 256배…‘괴물 별’동아닷컴 l2015.04.21
- [동아닷컴] 가장 무거운 별 후보, 태양질량의 256배…‘괴물 별’ 가장 무거운 별 후보가 누리꾼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별들은 저마다 밝기나 크기, 수명이 다르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물리량은 바로 질량이다. 천문학자들은 별의 한계질량을 태양질량의 150배 내외로 추정하고 있다. 가장 무거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03.31
- 2021년부터 거대망원경 ‘GMT(Giant Magellan Telescope)’가 가동을 시작해요. 지난 호 특집 기사를 본 친구들이라면 이 망원경 제작에 우리나라가 참여했다는 걸 잘 알 거예요. 그런데 GMT에 들어갈 ‘반사경’도 우리나라에서 만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대형 비구면 반사경을 정 ... ...
- 우주서 영감 얻은 예술작품이 궁금하다면2015.03.29
- “이번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정착설계콘테스트(Space Settlement Design Contest)’에서 2위했어요.” 18일 전화 한 통이 울렸다. 인하사대부고 3학년 이상민 군이었다. 지난해 ‘대한민국 과학창의축전’ 취재차 부산을 찾았다가 현장에서 만나 잠깐 이야기를 나눈 일이 있었다. 당시 이 군은 학교 ... ...
- 해부학, 이제 스마트폰으로 공부하세요~2015.03.22
- 아카데미아 제공 ■ VISUAL&EASY 사람해부 아틀라스(고기석 감수, 안보선 그림, 아카데미아 刊) 해부학 용어를 짧은 시간에 확실히 암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해부학을 접하는 학생이라면 한번쯤 품었음직한 질문이다. 해부학은 의·생명분야를 받치는 기둥과 같지만 인체의 각 부위 마다 쏟아 ... ...
- 필레, 겨울잠에서 깨어나렴2015.03.20
- 독일항공우주센터(DLR)는 “20일까지 필레와의 교신을 계속 시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 독일항공우주센터 제공 ‘필레와의 교신을 기다리며….’ 13일 독일항공우주센터(DLR)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는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애칭 ‘추리’)에 잠들어 있는 탐사로봇 ‘필레’의 사진과 ... ...
- 목성의 달 ‘가니메데’ 밑에 지구보다 더 큰 바다 숨었다2015.03.16
- 가니메데 얼음 표층 밑에 숨은 거대한 바다의 모습. - NASA 제공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Ganymede)’에 거대한 바다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태양계 천체에 큰 바다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가니메데 표면에 ... ...
- 거대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03.13
- ⒸESO/L.Calcada 제공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년 전 네덜란드에서 첫 등장한 굴절망원경을 더 높은 배율로 개량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이 망원경을 이용해 지구 밖 천체를 관측했다. 인간이 우주를 보는 새로운 눈을 얻은 순간이었다. 그 후 400년. 망원경은 우주를 좀 더 깊고 넓게 보기 위해 끊 ... ...
- 7000광년 밖 별의 요람이 눈앞에!과학동아 l2015.02.11
- 1995년 4월 1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거짓말 같은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 지구에서 7000광년 떨어진 독수리 성운에서 성간물질과 먼지가 마치 기둥 같이 늘어서 있는 광경을 선명하게 찍은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이었다.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 순간이었기에 이 사진에는 ‘창조의 기둥’이라는 이름 ... ...
- 게 성운 사진 공개, 1000년 전부터 관측해와…‘6500광년 거리’동아닷컴 l2015.02.03
- [동아닷컴] ‘게 성운 사진 공개’ 게 성운 사진이 공개됐다.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우주항공국(NASA)는 초신성 폭발 잔해인 게 성운(M1)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우주망원경으로 관측된 데이터 이미지를 합성한 사진이다. 공개된 게 성운 사진은 NASA의 허블 우주망원경이 세 개의 필터를 통해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