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사진
뉴스
"
사진망원경
"(으)로 총 326건 검색되었습니다.
7000광년 떨어진 독수리성운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2015.01.08
7000광년 떨어진 독수리성운 사진 -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7000광년 거리에 있는 ‘독수리성운(M16)’사진을 5일(현지시간) 새롭게 공개했다. 이번 독수리성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 발사 25주년을 기념해 재촬영한 것이어서 주목받고 있다. NASA는 20년 전인 1995년 촬영한 독수리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ETRI 연구진이 개발한 변신 렌즈의 모습. 전기가 흐르면 렌즈의 굴곡이 변한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17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한 연구실. 연구원이 전압을 바꾸자 지름 1cm도 안 되는 작고 둥근 투명 플라스틱 렌즈가 미세하게 부풀어 올랐다. 맨눈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수준 ... ...
허블이 찍은 굴 성운 NGC 1501, 구름이 감싼 모양 “신비로워”
동아닷컴
l
2014.11.13
[동아닷컴] 허블이 찍은 굴 성운 허블망원경이 찍은 굴 성운 ‘NGC 1501’이 공개됐다. 미국항공우주국 나사(NASA)는 최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허블이 찍은 굴 성운 ‘NGC 1501’을 공개했다. 성운은 별과 별 사이에 존재하는 가스 덩어리와 티끌의 집합체를 뜻한다. 공개된 사진 속 ‘NGC 1501’은 중앙에 ... ...
3년 만의 개기월식…서울시, 천체 망원경 20대 동원 ‘관측행사’
동아닷컴
l
2014.10.08
[동아닷컴] 3년 만의 개기월식…서울시, 천체 망원경 20대 동원 ‘관측행사’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관측될 예정이다. 개기월식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해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질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지난 2011 ... ...
도시에 뜨는 별은 어떤 모습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5.22
광해(光害)에 가려 별을 보는 것 조차 어려워 보이는 도심 한가운데서의 천체사진 촬영은 어불성설 같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관심 갖지 않았던 서울의 밤하늘을 아름다운 작품으로 카메라에 담아낸 대학생들 있었으니…. 바로 과학동아천문대의 사이언스멘토로 활동 중인 이화여자대학교 ... ...
이번엔 '진짜' 제2의 지구?
과학동아
l
2014.04.20
사이언스 제공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찍은 사진일까. 이번 주 ‘사이언스’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한 행성인 ‘케플러-186f’를 표지에 담았다. 케플러-186f가 큰 화제를 모은 이유는 지구와 ‘닮은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 물이 흐르고 생명체가 살고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커리클로의 지표에서 바라본 고리의 모습을 그린 상상도. 불과 250킬로미터 상공에 펼쳐져 있다. 멀리 빛나는 천체는 태양이다. - ESO 제공 보통 비슷한 특성을 지녀 한 무리로 묶이는 경우 가장 큰 것이 주목을 받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얼마 전 진주에 떨어진 운석의 경우도 처음 발견된 9.36kg짜리 ... ...
우주에 핀 ‘해바라기’…제2의 지구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3.25
NASA 제공 우주망원경 앞에 커다란 해바라기가 피어 있다. 촘촘히 나 있는 꽃잎 사이로 빛이 들어오다가 곧 칠흑같이 진한 그림자에 가려 없어진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개발 중인 ‘별 가리개’의 모습이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연구진은 외계에서 지구와 크기나 기온이 비슷한 ‘제2 ... ...
나사 우주사진 공개…‘우주유영은 칼로리 소모가 얼마나 될까?’
동아닷컴
l
2014.03.05
[동아닷컴]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가 임무 수행 중인 우주인과 푸른 별 지구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여러 장 공개해 누리꾼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나사는 최근 영화 ‘그래비티’ 속 한 장면처럼 허블 우주망원경을 수리 중인 실제 우주인의 모습을 포함해 10여 장의 사진을 SNS에 공개했다. 영화 ... ...
우리은하 지름이 10만광년인데 1100광년서 초신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1200만 광년 떨어진 외부 은하에서 별이 폭발하는 초신성 현상(화살표)이 발견됐다. -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공 근래 들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별이 생명을 다해 폭발하는 마지막 장면이 포착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1200만 광년 떨어진 외부 은하 M82에서 백색 왜성인 SN 201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