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배나 먹고 있다? 두 배나 먹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0
라면국물처럼 짠 음식에만 나트륨이 들어 있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이런 생각은
큰
오해예요. 사과나 우유식빵 같은 짜지 않은 식품에도 작은 양이지만 나트륨은 들어 있답니다.나트륨은 우리 몸의 수분량을 조절하는 중요한 영양소예요. 일상적인 식생활을 하는 건강한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0
숨는다. 5월 초~6월 중순에 알을 낳아 돌 밑에 알을 붙인다.칼납자루몸이 녹갈색을 띄며
큰
눈을 가졌다. 물풀이 많은 하천 하류나 얕은 시냇가에 작은 무리를 이루며 산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 주둥이에 하얀 돌기인 ‘추성’이 생겨 암컷을 유인한다. 알은 민물조개 안에 낳는다.우리나라 민물고기,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10
다른 모음을 조합해 쓴다.두벌식 자판은 지금까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드러냈다. 가장
큰
문제는 시프트 키와 함께 쓰는 위 글자가 7개나 된다는 점이다. 타자를 할 때 시프트 키는 손가락에 부담을 많이 준다. 한글 타자에서 오타가 생기는 경우도 대부분 시프트 키와 관련이 있다. 왼쪽에 자음, ... ...
진실 둘! 1등이 1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
수학동아
l
201110
아니더라도 5000만 번에 가까운 수가 나오게 됩니다. 이 법칙은 베르누이가 발견한 ‘
큰
수의 법칙’ 입니다. 저는 베르누이 이론을 확장해 통계에서 가장 위대한 정리인 ‘중심극한정리’ 를 완성했습니다. 중심극한정리는 동전던지기와 같은 시행을 무수히 많이 반복하면 확률 분포가 가장 ... ...
Part 2. 숫자의 마법, 진짜 유망주 찾는 통계
과학동아
l
201110
제거해 나간 것이다. 빌리 빈은 이렇게 만들어진 통계를 이용해 팀 운영에 도입했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오클랜드의 성공 뒤에는 과학적 통계 분석이 있었다. [11월 개봉 예정인 영화배우 브래드 피트 주연의 ‘머니볼’의 한 장면.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돌풍의 과정을 영화에 담았다. 브래드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10
망원경도 1.8m로 작은 편이고요.”전영범 박사는 이런 환경에서도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이
큰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건 물론 스케줄이나 맑은 날씨 같은 운도 따랐지만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자체 제작한 근적외선 카메라(검출기) 카시닉스(KASINICS)의 성능이 뛰어났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근적외선은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10
를 말하는 거야. 하지만 의학을 생각한다면 무조건 100점을 생각하고 살아야해.” L학생은
큰
시험에서 떨려서 실력 발휘를 다 하지 못한 적이 많았다. 흔히 시험복 없는 학생이 있다고 하지만 긴장하는 바람에 답 체크를 잘못했을 수도 있다. “저는 운이 없나봐요. 시험 성적이 공부한 만큼 안 ... ...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10
생각합니다. 그런 성취감이 점점 커지게 되는 순간 학생들은 진화해 자신감을 갖고 더
큰
목표에 도전합니다. 여러분도 도전한다면 성취감을 맛볼 것 입니다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10
“닥치고 방정식이나 푸시지!(Shut up and calculate!)”이유는 묻지 말고 계산이나 하라는 이 비아냥은 놀랍게도 양자역학이 간혹 듣는 비판이다. 20세기 가장 성공적인 이론 ... “더 많은 전파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천체물리학, 핵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활약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10
결코 단순하지만은 않은 ‘가위바위보’가 생태학의 오랜 난점을 해결하는 데
큰
시사점을 주고 있다. 난점이란 바로 생태학의 유명한 이론인 ‘경쟁배타의 원리’다. 비슷한 자원을 놓고 여러 종이 경쟁할 경우 결국은 한 종만 살아남는다는 원리로 당연한 얘기 같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렇지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