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왜 직선일까?
수학동아
l
201109
있을까요? 그 대답은 닮음에 있습니다.그래프②를 보면 두 개의 삼각형이 있습니다.
큰
삼각형은 작은 삼각형을 2배 확대한 삼각형입니다. 두 삼각형은 닮은 삼각형이어서 대응하는 각의 크기가 같습니다. 이 삼각형은 모두 y=2x를 빗변으로 한 직각삼각형으로 두 변의 길이의 비가 1:2인 삼각형이죠 ... ...
뻐꾸기, 알 맡기려고 생김새도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9
몰래 낳고 가는 얌체, 뻐꾸기. 이런 뻐꾸기가 남의 둥지에 알을 더 쉽게 낳기 위해 새매(
큰
사진)를 닮은 모습으로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팀은 뻐꾸기의 생김새에 대한 개개비의 반응을 연구했어요. 그 결과 새매를 닮은 뻐꾸기는 개개비 둥지에 몰래 알을 ... ...
PART 2 수학적 사고력에 진짜 도움이 될까?
수학동아
l
201109
사고하는 능력이 길러진다고 설명했어.오락문제로 문제해결력 쑥쑥!수학을 배우는 가장
큰
이유는 문제해결력을 키우기 위해서야. 주어진 조건에 따라 논리적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문제를 푸는 훈련을 하면 꼭 수학문제가 아니더라도 현실의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지.그런데 ... ...
공책, 수학으로 가득 찬 '빈 책'
수학동아
l
201109
크기는 1cm에서 수cm로 종이의 매수에 따라 다르다. 묶을 종이가 많으면 당연히 지름이
큰
링을 쓴다. 하지만 스프링 지름의 크기가 크다고 해서 종이를 지름의 크기만큼 많이 묶어 공책을 만들지는 않는다. 종이를 편하게 넘기기 위한 공간의 여유도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프링 공책을 ... ...
접어 만든 소마큐브 조각
수학동아
l
201109
떠올렸다. ‘크기가 같은 정육면체를 4개 이하로 이어 붙여 만든 조각들로 조금 더
큰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다’ 는 명제였다. 1936년 이 생각을 발전시켜 소마큐브를 구성할 수 있는 7개의 조각을 만들었고, 이것을 이용해 수천 가지의 기하학적 구조물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피에트 하인과 그의 ... ...
특목고 입시 기획 ① 왜 수학영재학교는 없나?
수학동아
l
201109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사실 수학을 잘한다는 것은 문과와 이과에 관계없이 매우
큰
강점이 된다. 수학을 잘하는 학생들은 매우 논리적이므로 대학 졸업 뒤 법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수학만 잘해선 특목고 입학 어려워이처럼 수학 실력은 대학 입시와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09
공진의 힘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앞서 이야기했듯이 공진을 이용하면 작은 힘으로도
큰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성악가가 높은 음의 소리를 내서 유리잔을 깨뜨릴 수 있다는 예는 이미 익숙하다. 소리도 공기의 진동이므로 소리로 유리잔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때 소리의 진동수와 유리잔의 ... ...
몸이 차면 뚱뚱할까?
과학동아
l
201109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체온과 몸집 사이에 관련성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몸집이
큰
개가 작은 개에 비해 직장 온도가 낮았으며, 몸무게가 같은 경우에는 비만인 개가 정상체온의 개보다 낮았다. 리피네티 교수는 “이 결과는 비만과 체온 저하에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동물이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09
질량이 아주 클 경우 수명이 수백만 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따라서 우주초기 생성된
큰
별들이 초신성 폭발을 통해 사라지며(또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바뀌며) 엄청난 양의 먼지를 내뿜었다는 것. 이번 관측은 초신성 폭발이 정말로 충분한 양의 먼지를 만들어냄을 보여줬다. [➊ 우주탐사선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09
Argyreus hyperbius)는 네발나비과의 표범나비아과에 속하는 나비로 날개를 펴면 80mm에 이르는
큰
나비다. 암컷 앞날개의 끝이 검어 암끝검은표범나비라는 이름이 붙었고 제비꽃 종류를 먹는다. 애벌레는 검은색 바탕에 등 쪽으로 몸 전체를 관통하는 선명한 붉은색 줄무늬가 눈부시다. 북위 36도 이남의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