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뉴스
"
호
"(으)로 총 3,207건 검색되었습니다.
혜성 탐사선 로제타, 사상 최초 혜성 착륙 성공 “태양계 탄생 비밀 풀어줄까?”
동아닷컴
l
2014.11.13
처음이다. 이것은 영원할 것”라고 말했다. 앞서 혜성 탐사선 로제타는 2004년 3월 아리안 5
호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다. 로제타는 10년 8개월 동안 64억㎞를 비행한 끝에 혜성 67P에 탐사로봇 필래를 내려놓았다. 과학자들은 탐사로봇 필래의 성공적인 혜성 착륙으로 태양계 탄생의 비밀을 풀어줄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익은 곤충들이 등장했다. 마치 행과 열을 맞춰 줄을 서 있는 것 같은 이 곤충들은 이번
호
사이언스에 발표된 ‘곤충 진화 연대표’에 따라 순서대로 늘어 놓은 것이다. 곤충은 자연계에서 가장 종 다양성이 풍부한 동물군이지만 각각의 곤충이 언제 등장했는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논란이 ... ...
빅뱅 후 6~7억 년 뒤 우주배경복사 관측 성공
2014.11.07
이번 연구와 별도로 자체 개발한 근적외선 카메라를 작년 11월 발사한 과학기술위성3
호
에 탑재하고 우주배경복사와 우주성간물질 분포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이대희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우주배경복사를 처음 발견한 것은 1965년이지만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며 “이번 연구는 ... ...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깨지거나 금 간 곳에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만든 모르타르를 채워 넣은 것인데, 국보 제11
호
인 익산 미륵사지 석탑처럼 자갈을 더한 콘크리트로 외벽을 보수한 경우도 있다. 흉해 보이긴 해도 시멘트는 지금까지 가장 뛰어난 재료였다. 하지만 시멘트는 석재보다 풍화가 빨리 진행되고 표면이 ... ...
[부고]최순달 KAIST 명예 교수
2014.10.19
최순달 KAIST 명예교수 - KAIST 제공 국내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 1
호
’를 개발하고 발사한 최순달 KAIST 명예교수(전 체신부 장관·사진)가 18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 1931년 대구 출생인 고인은 대구공업고와 서울대 전기공학과를 거쳐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내 ... ...
국내 제1
호
연구소기업, 코스닥 예비심사 통과
2014.10.19
대표 건강기능식품 '헤모힘'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국내 제1
호
연구소기업이 2015년 2월 코스닥에 상장될 예정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원자력연구원이 설립한 제1
호
연구소기업 콜마비앤에이치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로부터 상장에 적격한 것으로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 ...
[2014 국정감사를 보며] 웃음을 참아야 하는 씁쓸한 국정감사
2014.10.16
KISTI)에서 몇 대의 슈퍼컴퓨터를 운영하고 있는지도 알지 못해 “아, 슈퍼컴퓨터 4
호
기가 두 대로 구성돼 있느냐?”며 놀라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물론 국회의원들의 애로사항도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올해 국감은 일정변경 때문에 준비기간이 짧았다. 26개나 되는 정부기관을 속속들이 ... ...
물 마시려면 잎스폰지보다 이끼스폰지로
2014.10.07
이끼스폰지를 만들고, 이를 쓰는 법을 배운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 캐서린
호
베이터 세인트앤드류스대 박사는 “침팬지 사회에도 새로운 도구나 기술이 퍼져나갈 수 있음을 밝힌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 ...
인공위성으로 재난 해결… 위성정보 활용계획 나왔다
2014.09.30
대응기술 박차 미래부는 지난 해 러시아에 운석이 떨어지고, 최근엔 과학기술위성 3
호
와 우주파편 간 충돌위험이 발생하는 등 갈수록 늘어가는 우주위험에 대비한 제도적·기술적 준비 역시 강화할 계획이다. 먼저 우주위험 발생 예측 때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우주위험 대책본부’(미래부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바이오공학상) 언젠가 지구 상공 3만5800km를 돌게 될 대한민국의 정지궤도위성 초록별 11
호
는 이렇게 생겼을까. 태양전지판이 방사형으로 8개 달려 있으며 작은 우주정거장 역할도 한다. 사진에는 우주인 4명이 우주 유영을 마치고 정거장으로 귀환하고 있다. 해파리의 유생인 에피라와 따개비의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