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뉴스
"
호
"(으)로 총 3,207건 검색되었습니다.
‘굿바이 나로과학위성’ 나로
호
탑재체, 4월 우주 미아 됐다
2014.09.23
쓰지 못한 점도 수명 단축의 한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우주 전문가들은 나로
호
가 인공위성을 목표 궤도에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나로과학위성을 제작한 만큼 일차적인 임무는 완수한 것으로 평가한다. 국산 우주 부품 시험에서도 합격점을 받았다. 차세대 ... ...
음속 20배 우주쓰레기 2만3000개 피하는 법
2014.09.19
아리랑 2
호
와 3
호
, 5
호
등 3기와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이 있다. 과학기술위성 3
호
에 민간기업이 운영하는 통신 위성까지 포함하면 10여기가 우주에서 매초 우주쓰레기와의 충돌 위험에 노출돼 있다. ●충돌 확률 1000분의 1 넘으면 회피기동 준비 카리스마 팀은 매일 오전 11시와 오후 11시 두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우표 속 세상, 사라져가는 과학기술
2014.09.15
창조경제의 원동력’ ‘미래 먹거리가 과학기술에 달렸다’ 이런 말들을 사라질 구
호
에 그치지 말고 시대의 아이콘이자 역사적 기록물 역할을 하는 우표에 남기는 건 어떨까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전문가인 장성래 작가가 함께 작업한 ‘팔색조 육아기’가 나왔다. 천연기념물 204
호
이자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된 팔색조는 발견하기 쉽지 않은 새다. 저자들은 남해지역 곳곳에서 팔색조 둥지를 찾아 어미 팔색조가 알을 부화시키고 새끼를 기르는 전 과정을 카메라에 담았다. 책에는 팔색조 ... ...
“과학으로 소통하는 세상 꿈꿔요”
2014.09.10
황 교수는 1976년부터 인하대 신소재공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쳐 왔다. 그는 ‘국내 1
호
여성 공대 교수’라는 타이틀도 가지고 있다. ● 과학으로 ‘재능기부’하는 방법, ‘블로그’ “어느 날 출판사에서 연락이 왔더라고요. 제 블로그를 보고서는 책을 내보자고 제안했죠.” 황 교수는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
수학동아
l
2014.09.06
어떤 도형으로 볼 수 있을까? 수학에서는 오른쪽 아래 그림과 같이 두 개의 원의
호
로 이뤄진 초승달 모양의 평면도형을 ‘궁형(Lune)’이라고 부른다. ‘Lune’은 달을 뜻하는 라틴어인 ‘Luna’에서 유래된 영어 단어다. 고대의 수학자들은 가장 완벽한 평면도형으로 여겼던 원을 연구하면서 궁형에 ... ...
Happy Birthday, 보이저 1
호
!
2014.09.05
보이저 1
호
. - NASA 제공 미국의 무인 우주탐사선 ‘보이저 1
호
’가 5일로 37번째 생일을 맞는다. 1977년 지구를 떠난 보이저 1
호
는 무게 721. ... 밖으로 향했고, 2
호
는 천왕성과 해왕성을 차례로 관측하는 경로를 택했다. 현재 보이저 2
호
는 태양에서 158억 km 떨어진 지점을 지나고 있다. ... ...
일제강점기에 그려진 ‘조선지질도’ 문화재로 등록
2014.09.02
603
호
와 604
호
로 등록된 ‘조선지질도(왼쪽)’와 ‘대한지질도(오른쪽)’의 모습.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연)이 소장하고 있는 근대 지질도인 ‘조선지질도’와‘대한지질도’가 문화재로 등록됐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보유한 자료가 문화재로 등록된 건 이번이 ... ...
서울 싱크홀 年 680건… 지하철 인근 지하수 수위 170cm 뚝
동아일보
l
2014.08.29
일대 지하수 수위는 30.3m로 서울시내 평균(9.8m)보다 3배 수준으로 낮았다. 지하철 1·3·5
호
선이 교차하는 종로구 수송동 종묘공원 일대 지하수 수위는 23.9m였다. 지하철을 개통하려면 땅속에 터널을 내야 하는데 이때 터널 벽을 통해 지하수가 스며 나와 이를 계속 퍼내기 때문에 지하수 수위가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신
호
를 가장 정밀하게 읽어낼 수 있는 고성능 탐침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뇌 탐침은 아주 가는 전극을 신경에 접속할 때 이용하는 것 ... 금나노 탐침을 이용한 뇌 신경 분석결과. 기존의 텅스텐 탐침에 비해 훨씬 정밀한 뇌신
호
를 얻었다. - KAIST 제공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