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돌격! 동물특공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작고 가벼워 지뢰 위를 뛰어다녀도 터지지 않기 때문이야. 게다가 냄새를 아주 잘 맡고
길
들이기도 쉽지. 이미 훈련을 마친 12마리의 동료는 수십년간의 전쟁으로 약 50만개의 지뢰가 묻혀 있는 아프리카 모잠비크 지대에서 맹활약하고 있어. 앞으로 나의 눈부신활약, 기대해 줘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돌다 보면 ‘전파천문대’라는 푯말이 보이는 오솔
길
이 나온다. 굽이굽이 오르던
길
이 끝나는 곳에 커다란 접시안테나가 달린 전파망원경이 우뚝 서있고 그 앞에는 정원 씨와 창희 씨가 몸담고 있는 전파천문대 건물이 있다.후배 창희 씨는 이 골목 저 골목을 뒤져야 하는 복잡한 청계천 ... ...
운동량 체크하고 걸음법까지 보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표준발 모델이다. 한국인의 표준발은 미국이나 일본인의 표준발과 비교했을 때 발의
길
이에 비해 발의 둘레가 더 크다. 따라서 한국인에 비해 발의 둘레가 좁은 외국인 발의 형태를 적용한 신발을 신으면 갑갑함을 느낄 수 있다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게놈에 흔적을 남긴 셈이다.카레 속 커큐민 암세포 성장 유전자 제어인도인들은 먼
길
을 떠날 때 상비약으로 ‘강황’을 챙긴다. 인도인들은 강황을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해 순금보다 비싼 값을 매긴다. 더위가 심한 인도에서는 발한작용으로 인한 상쾌함을 얻기 위해 매운 맛의 향신료를 흔히 쓴다. ... ...
산타클로스 선물 보따리를 풀어라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 5x37cm정삼각형 6개를 이어 붙여 만든 다양한 모양의 블록을 이용해 4명까지 게임을 즐
길
수 있다. 다른 사람이 내려놓는 블록의 방해를 피해 자신의 블록을 게임판에 최대한 많이 내려놓는 사람이 이긴다. 도형 맞추기에 능한 사람이라면 산타클로스와 한판 대결을 해보는 건 어떨까.똑똑한 쿠키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깎이는 경우를 말한다 개석의 정도(개석도)는 골짜기의 분포밀도, 골짜기의 깊이 너비
길
이 등을 적당한 방법으로 수량화하는 것에 따라 표시된다 이것은 그 침식작용이 이루어진 시대의 신구(新舊)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핵을 다른 세포질로 바꿔치는 일 다른 종 사이의 잡종(A×B)을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이곳에서 인류의 화석은 뼈 한 조각도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이 누구였는지는 알
길
이 없다.한편 인류가 최초로 불을 사용한 흔적은 15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올두바이 고지와 케냐의 쿠비 포라에서 불에 탄 석기와 점토가 발굴됐는데 이 지역 모두 호모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NER을 총괄적으로 정리하는 초청논문을 싣기도 했다.하지만 그는 “아직 갈
길
이 멀다”고 말했다. NER 과정에 참여하는 단백질 중 아직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단백질이 대부분인데다가, 이 단백질의 구조가 손상된 DNA를 찾고 복구하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는 대소 두개의 마젤란성운과 안드로메다성운 등 20개로 이루어진 성운 집단
길
이는 3,4백만 광년에 이른다 구성 면면을 살펴보면 일곱개의 나선상성운(우리은하 안드로메다성운 등), 세개의 불규칙성운(마젤란성운), 네개의 타원성운(안드로메다의 반성)외에 조그만 성운(왜성운)들이 다수 포함돼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한국인이 지은 병명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기는 처음이었다. 그러나 다음부터가 가시밭
길
이었다. 우리나라에서 CMTX5병을 앓는 환자는 단 한 가족. 세계적으로 발병기록조차 드물었다. 어쩌면 평생을 걸어야할 모험이 될지도 몰랐다.과거에는 질병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특정 후보유전자를 정해 그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