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이곳은 주위보다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고 온도가 낮다 차가 코너나 마찰력이 작은 빙판
길
등을 주행할 때 구동력이 지나치게 많거나 반대로 제동력이 크면 코너링력이 떨어져 중심을 잃고 원래 가고자 하는 주행라인을 지키지 못한다 TCS는 이에 대한 방지책으로 고안된 것이다 TCS는 코너에서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30.....“바람이 차요.”부두에 묶인 배들이 좌우로 흔들렸다. 나는 래빗의 중절모를 챙기지 못한 것을 후회했다. 상선과 상선 사이로 몰아치는 바람은 한겨울 계곡을 따 ... 래빗의 입술이 천천히 벌어지고 하얀 앞니가 나타났다.“그동안 고마웠소. 이제 그만 태 선생의
길
을 가도록 해요 ... ...
외래종 새가 하와이 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살 곳을 잃은 자생 조류가 대부분 멸종했다. 씨 뿌리는 ‘농부’를 잃은 나무들이 번식할
길
을 잃고 덩달아 멸종 위기에 처한 것.그런데 최근 하와이의 숲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 포스터 박사팀이 하와이에 유입된 외래종 조류인 동박새(Zosterops japonica)와 상사조(Leiothrix lutea)의 위를 조사한 결과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하는 등 가야할
길
은 아직 무척 멀다. 그러나 가능성이 보이는 한 과학자들은 그들의 갈
길
을 계속 갈 것이다. *비폐쇄성 무정자증정자가 이동하는 관은 막혀있지 않지만, 유전적 문제 때문에 정원줄기세포로부터 정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남성 불임환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줄기세포의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앨런 튜링을 상징한다. 그는 인간의 논리 회로를 모방한 튜링 머신을 고안해 컴퓨터의
길
을 열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독일의 암호 애니그마를 해독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그러나 그는 자살로 자신의 삶을 마감했다.1868년 6월 14일혈액형을 발견한 란트슈타이너 출생오스트리아의 의사 ... ...
6월 6일, 발등에 오줌싸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비밀은 바로 태양에 있습니다. 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커다란 구에서 태양이 다니는
길
을‘황도’라고 해요. 황도에서 봄의 기준점인 춘분점에서 태양이 멀어진 정도를 ‘황경’이라고합니다. 태양이 여름의 기준점인하지점을 향해 움직이면 황경이 커지며 날씨가 점점 더워집니다. 망종이 되면 ... ...
PART3 줄기세포, 그 분화의 비밀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한다.그렇다면 어떻게 210여개의 갈림
길
에 놓인 배아줄기세포를 우리가 원하는 한쪽
길
로만 가게 설득할 수 있을까? 그 답은 오랜 세월동안 쌓아온 발달생물학의 연구 결과에서 얻을 수 있다. 난자와 정자가 수정한 뒤 세포 분열과정인 난할을 거친 배아는 모체의 자궁에 착상해 하나의 개체로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선보였다. 원하는 유전자를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전자 적중 쥐는 질병을 치료하는
길
을 매끄럽게 닦았다.맞춤형 쥐는 과학자가 원하는 특정 유전자를 쏙 뺀 쥐다. 사실 특정 유전자를 없애거나 다른 유전자로 바꾸는 기술은 미생물 같은 하등동물에서는 이미 개발됐다. 병충해에 강한 작물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전국민이 1년동안 배출한 양으로 어림하면 1억8000만톤에 이른다.이제 자신이 걸어온
길
을 되돌아보며 그동안 남긴 탄소발자국을 돌아볼 때다. 그리고 서로에게 물어보자. 당신의 탄소발자국은 얼마입니까? 종이컵 1개의 탄소발자국과학동아는 국내 최초로 종이컵 한개를 생산해서 사용하고 소각할 ... ...
한국인의 돌연사를 막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목이 만나는 부분에 손을 대보면 맥박이 뛰는 부위가 있는데 그곳이 경동맥이 지나는
길
이다. 경동맥의 혈관벽은 가장 안쪽부터 내막, 중막, 외막으로 나뉘는데 내막에 지방이 침투하며 동맥경화가 진행돼 내막과 중막(내중막)이 점점 두꺼워진다. 혈액이 흐르는 통로가 좁아지는 셈이다.미국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