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우주최강 생명체 ‘물곰’ DNA 갑론을박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샘플이 외부 DNA에 오염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은 ‘
사이
언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샘플을 다시 조사 중”이라고만 밝혔다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조현병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연구진이 덴마크에서 1981년부터 2005년
사이
에 태어난 848명을 조사해 2010년에 발표한 논문이다(Arch Gen Psychiatry. 2010;67(9):889-894). 덴마크 정부에서 만든 정신질환 자료와 바이오뱅크에 보관된 신생아의 건조혈반을 이용해 조현병 환자 424명과 정상인 4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합은 0이다. 이 구조가 바로 프랙탈이다. 수학적으로 프랙탈의 차원을 구해보면, 1과 2
사이
의 무리수 값(log8/log3 ≈ 1.8928 ) 이 나온다. 앞서 설명한 로렌츠의 나비가 갖는 차원 값도 정수가 아니다(약 2.06).프랙탈을 이용하면 치즈 한 덩이만 갖고도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법대로 작은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진화하는 과정에서 꼬리가 짧아지고 다리
사이
에 있던 피부막이 퇴화했다. 그 결과 자유로운 다리를 얻었고, 효과적으로 땅 위를 걸어 다니며 다양한 먹이를 먹을 수 있었다. 땅으로 내려오게 된 익룡들은 어떤 먹이를 먹게 됐을까. 또 어떤 다른 모습으로 진화했을까.프랑스의 남서부에 위치한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수 있게 만들었다. 또 정보를 주고받을 수도 있게 했다. 세계 곳곳의 입자물리학자들
사이
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월드와이드웹은 일반인들에 게도 급속도로 확산됐다. 장상현 기초과학연구원(IBS) 순수물리이론연구단 연구위원은 “지금도 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논문데이터베이스가 20여 년 ... ...
[Tech & Fun]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➊명탐정 코난의 제트 코스터 살인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앉은 피해자의 목에 정확히 줄을 걸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롤러코스터는 사람과 사람
사이
의 거리가 70cm 이상입니다. 이 길이가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 거리이기 때문이지요. 그럼 두 칸이 떨어져 있던 범인과 피해자의 거리는 최소 1.4m입니다. 범인은 여성이고요. 국립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3년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부풀어 오른 정도인 ‘충전도(한국산업표준·KS)’로 판단한다. 충전도가 높을수록 솜털
사이
에 형성된 공기 층이 많아 보온 효과가 크다. 특히 각 보푸라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와 있는 삼각형의 구조물이, 솜털이 항상 부푼 상태로 있도록 지지한다.문제는 이들 다운의 상당수가 살아있는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할 것은 무엇인가?’를 항상 함께생각하는게 좋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나도 모르는
사이
뜨거웠던 열정은 공허한 꿈이 되어 훠이훠이 날아갈 것이다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비롯한 등장인물이 이름을 자주 언급하지만 실제 모습을 드러내는 일은 거의 없다. 독자
사이
에서도 가상의 인물인 모리아티에 대한 궁금증은 점점 커졌고,이 사람에 대한 연구 결과도 속속 발표됐다.악당 모리아티의 어린시절은?아서 코난 도일은 제임스 모리아티의 정체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는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깁스 박사 연구팀은 “붉은털 원숭이와 인간이 93%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다”고 ‘
사이
언스’ 2015년 4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때문에 붉은털원숭이는 본의 아니게 인간을 대신해 무수히 많은 실험의 대상이 돼야 했다. 생명과학 실험은 물론 심리학, 사회학 실험까지 도맡아 했다. 인간을 위해 희생된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