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합은 0이다. 이 구조가 바로 프랙탈이다. 수학적으로 프랙탈의 차원을 구해보면, 1과 2 사이의 무리수 값(log8/log3 ≈ 1.8928 ) 이 나온다. 앞서 설명한 로렌츠의 나비가 갖는 차원 값도 정수가 아니다(약 2.06).프랙탈을 이용하면 치즈 한 덩이만 갖고도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법대로 작은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 있게 만들었다. 또 정보를 주고받을 수도 있게 했다. 세계 곳곳의 입자물리학자들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월드와이드웹은 일반인들에 게도 급속도로 확산됐다. 장상현 기초과학연구원(IBS) 순수물리이론연구단 연구위원은 “지금도 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논문데이터베이스가 20여 년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찌를 테니 당신은 발 쪽으로 가서….”길잡이는 두 발짝 물러났다. 칼들은 여왕의 가슴골 사이로 떨어졌다.“싫어.”“왜?”“난 당신의 부스터가 아니니까. 이유를 들려줘. 왜 여왕을 깨워야 하는데? 전설이나 예언에 나오는 영광 때문은 아니지?”“네 말이 맞아.”“그럼 왜 그러는데? 정말 왕이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비롯한 등장인물이 이름을 자주 언급하지만 실제 모습을 드러내는 일은 거의 없다. 독자 사이에서도 가상의 인물인 모리아티에 대한 궁금증은 점점 커졌고,이 사람에 대한 연구 결과도 속속 발표됐다.악당 모리아티의 어린시절은?아서 코난 도일은 제임스 모리아티의 정체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는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계산하는 것일까? 이것은 배터리 내부 전압을 측정해 계산한다.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 사이를100등분하여 화면에 백분율로 표시해주는 것이다. 즉 배터리 내의 전압이 가장 높을 때가 100%, 가장 낮을 때가 0%로 표시된다.그런데 전압의 변화는 사용량에 따라 일정하게 변하지 않는다. 배터리 용량이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집입니다. 방이 두 개, 마루가 한 개여서 3칸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기둥과 기둥 사이를 1칸으로 세기 때문입니다. 1칸은 6자, 즉 1.8m입니다. ‘자’는 팔뚝에서 손가락 끝까지 길이인데, 약 30cm입니다. 하지만 이 단위는 왕마다 제각각이었는데, 세종대왕 때는 1칸을 8자(2.4m)로 정했고, 그 ... ...
- [News & Issue]우주최강 생명체 ‘물곰’ DNA 갑론을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샘플이 외부 DNA에 오염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은 ‘사이언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샘플을 다시 조사 중”이라고만 밝혔다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깁스 박사 연구팀은 “붉은털 원숭이와 인간이 93%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다”고 ‘사이언스’ 2015년 4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때문에 붉은털원숭이는 본의 아니게 인간을 대신해 무수히 많은 실험의 대상이 돼야 했다. 생명과학 실험은 물론 심리학, 사회학 실험까지 도맡아 했다. 인간을 위해 희생된 ... ...
- INTRO. 광유전학 빛으로 뇌를 조종하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용해 뉴런의 활동을 자극하는 기술인 광유전학이 나온 지 10년이 지났다. 그 사이 기술은 빠르게 발전해 이제는 쥐의 감정까지 조절할 수 있게 됐다. 음파유전학 등 응용연구도 쏟아졌다. 이제는 인간에게 적용할 방법을 고려할 정도다. 생물학계의 지난 10년을 뜨겁게 달궜던, 그리고 2016년에도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다.빛으로 뇌의 구석구석까지다이서로스 교수의 논문이 발표된 뒤 광유전학은 학자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졌다. 광유전학을 실제 생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다. 실험용 쥐의 뇌에 바이러스를 이용해 광유전학 도구를 이식하는 방법이 2007년 완성돼 사용이 더 쉬워졌다. ... ...
이전288289290291292293294295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