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다음으로 가장 많이 쓰는 물질이 되었지요. 유엔환경계획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1년 동안 약 400억 톤의 모래를 사용한다고 해요. 이는 20년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양으로, 중국이 전체의 3분의 1이상을 차지하고 있지요. 그런데 중국은 2030년까지 도로를 짓는 데만 8억 톤의 모래를 추가로 사용할 ... ...
- Part 1. 똥냄새는 2억 8000만 년 전부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이 식물은 ‘종자 고사리’로, 은행나무의 조상 식물이랍니다. 이후 진화를 거치면서 약 2억 년 전인 중생대 쥐라기에 오늘날과 비슷한 은행나무가 나타났어요. 그리고 공룡이 살았던 백악기에 가장 번성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지요. 즉, 지금의 은행나무는 2억 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멸종되지 ... ...
- [헷갈린 과학] 아프리카 초원의 육상선수 가젤 VS 임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모험가 조셉 톰슨이 이 가젤을 발견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지었어요. 몸길이는 약 1m, 몸무게는 20~35kg이고 옆구리에 뚜렷한 검은줄이 있는 게 특징이에요. 이 검은 줄은 대부분의 가젤이 갖고 있는 특징이기 때문에 가젤과 임팔라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답니다. 임팔라는 동부와 남부 아프리카에서 ... ...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충돌구’라는 소행성 충돌 흔적이 있어요. 직경 180km에 깊이 20km로, 6600만 년 전에 약 10km의 소행성이 충돌한 것으로 추정되지요. 과학자들은 이 충돌로 공룡이 멸종했다고 보고 있어요. 2016년 4월, 국제 연구팀이 해저 시추 를 통해 바다 속 506~1335m에 묻혀 있던 칙술루브 충돌구의 해저 토양을 ... ...
-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38분 32초, 다시 규모 4.4의 지진이 감지됐어요. 추가 지진은 바로 전 지진이 일어난 곳에서 약 7km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지요. 폭발이 일어난 뒤 근처의 땅이 푹 꺼지면서 발생한 ‘함몰지진’으로 추정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원자폭탄부터 수소폭탄까지! 북한 핵실험의 ... ...
- Part 1. 축제 같았던 2017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대서양에서 막을 내렸어요. 미국 대륙을 통과하는 데 걸린 시간은 약 90분! 그 속도는 약 시속 3400km로 측정됐지요. 한 지점에서 개기일식을 볼 수 있는 시간은 불과 2분 30초 정도예요. 하지만 개기일식을 본 사람들은 한결같이 짧지만 아주 강렬한 경험이었다고 말했어요. 아이다호주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시민들이 참여했나요?개기일식이 일어난 지 며칠 만에 10TB 이상의 사진이 올라왔어요. 약 100만 장 이상의 어마어마한 양이지요. 현재 시민과학자들이 올려 준 사진을 바탕으로 0.5버전의 메가무비를 만들어 유튜브에 공개했어요. 미국 대륙을 따라 태양이 이동한 순서대로 개기일식의 모습이 담겨 ... ...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자기소개를 부탁해! 도도새: 안녕하세요! 저는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서 동쪽으로 약 900km 떨어진 모리셔스 섬에 살았던 도도새예요. 몸길이는 1m 정도이고, 몸무게는 최대 14kg 정도지요. 또 부리는 23cm 정도인데, 부리의 끝은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답니다. 모리셔스 섬에는 먹이가 ... ...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건 아니라고 해요. “생활 속에서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은 약 6종류예요. 이 가운데 공업용인 ‘폴리염화비닐(PVC)’과 게임기, 대용량 물품 등에 쓰이는 ‘기타 플라스틱’은 아예 재활용이 불가능해요. 또 페트나 비닐봉지 같은 포장재도 재활용이 어려운 소재지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이뤄져 있어요. 즉 사람이 집에서 길들이는 새라는 뜻이랍니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약 70% 이상이 산이기 때문에 전국 곳곳에서 동굴을 볼 수 있어요. ‘동굴(洞窟)’은 ‘골 동(洞)’과 ‘굴 굴(窟)’이 합쳐진 단어로 ‘자연적으로 땅속에 만들어진,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 ...
이전287288289290291292293294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