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찍었어요. 이 별들의 빛은 지구를 향해 오는 과정에서 반드시 태양 곁을 지나게 돼요. 만약 일반상대성이론이 옳다면 태양 곁을 지나던 빛이 휘어져, 일식 때 측정된 별의 위치와 밤에 본 별의 위치가 달라야 해요. 실제 측정 결과 에딩턴은 둘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어요. 일반상대성이론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32km에 달하는 건물이 우주에서부터 지구의 하늘까지 내려오게 된답니다. 이 건물은 시속 약 480km의 속도로 ‘8’자 모양의 궤도를 그리며 북반구와 남반구를 주기적으로 왕복하게 돼요. 그 모습이 같은 시각, 같은 위치에서 1년간 태양의 위치를 촬영하여 기록했을 때 8자 모양으로 나타나는 ...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일어나는 동안 ‘생명 반응’을 올려 줬어요. 424종의 동물, 곤충, 식물들에게서 약 2700개의 이상 반응이 관찰됐지요. 어떤 식물은 꽃잎을 오므렸고, 벌들은 벌집으로 돌아갔으며, 물고기들이 호수 표면 위로 올라왔다는 등 다양한 기록이 올라왔어요. 캘리포니아 과학아카데미의 엘리스 리차드 씨는 ...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가리면, 다른 한 대가 그 뒤에서 태양 주변의 코로나를 관측하지요. ESA는 이를 통해 약 6시간 동안 인공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고 밝혔어요. 지구에서보다 개기일식을 관측하는 시간이 훨씬 길 뿐만 아니라, 우주에서는 대기의 산란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관측 정확도도 높지요. 한편, 미국 ... ...
- [가상인터뷰] 모기 먹는 모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수 있어요. 광릉왕모기의 유충 기간은 약 16일인데, 이 기간 동안 한 마리의 유충이 약 416마리의 모기 유충을 제거할 수 있답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너희를 이용해 모기를 없애니? 이렇게 천적을 이용해 해충을 죽이거나 서식 밀도를 줄이는 방법을 ‘생물학적 방제’라고 해요. 왕모기를 이용해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유충은 나무줄기 속으로 파고 들어가 겨울을 보내지요. 즉 참나무시들음병으로 힘이 약해진 참나무가 증가한 만큼, 하늘소가 더 많이 번식할 수 있게 된 거예요. 또 올해는 예년보다 겨울에 얼어 죽는 유충이 적었어요. 하늘소는 유충 상태로 겨울을 보내는데, 그중 일부는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 ...
- [현장취재①] 침팬지 연구자 제인 구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0대부터 약 50년간 침팬지 행동을 연구한 제인 구달 박사님은 우리나라와 인연이 깊어요. 숲과 함께 침팬지가 사라지는 것을 목격한 박사님은 환경운동가가 되기로 결심했어요. 1991년, 탄자니아에서 만든 청소년 환경운동 프로그램 ‘뿌리와 새싹’은 우리나라에도 전해졌지요. 3년 전엔 박사님의 ... ...
- Part 3. [고리 1호기] 해체까지 남은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낮출 수 없어 잘라서 버려야 하지요. 하지만 원자로는 지름이 4m, 높이가 13m에 두께는 약 30cm나 될 정도로 매우 거대해서 사람이 직접 자르기 어려워요. 또 사람이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이 있지요. 그래서 연구팀은 원격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사람 대신 로봇 팔이 원자로 압력 용기와 원자로 내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쿠로시오 난류’가 그 주인공이지요. 쿠로시오 난류는 두 번째로 큰 해류로, 그 폭만 약 100km에 달한답니다. 또 흐르는 속도도 빨라서 1초에 2.5m 정도를 움직일 수 있어요. 이는 평소에 상어가 움직이는 속도와도 비슷한 수준이랍니다. 이와 반대로 러시아쪽에서 내려오는 차가운 바닷물도 있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해외에 사는 민물고기 종도 함께 연구해요. 지구 전체에 살고 있는 민물고기 종 수는 약 2만 5000종에 달해요. 이 가운데 215종이 우리나라에서 발견됐지요. 지사탐 대원들을 대상으로 민물고기 교육을 진행한 중앙내수면연구소 최성국 연구원은 “215종 중 서호납줄갱이는 지구상에서 완전히 멸종된 ... ...
이전288289290291292293294295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