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06
수 없는 환경이다. 따라서 심해 생물은 동물과 미생물로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식물과
빛
이 없기 때문에 광합성에 의한 유기물질(탄소를 함유한 생물의 에너지원이 되는 물질) 생성은 전혀 기대할 수 없다.하지만 다른 방법을 통해서 심해에 유기물질이 유입되기도 한다. 하나는 상층부에서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06
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상준_ 그것도 과학적인 과정인가 보죠?정교수_ 광섬유처럼
빛
을 가이드하는 것이죠.상준_ 결국 시각을 갖추려면 약간의 털이 달린 망막 비늘이 둥둥 떠다녀야 하겠군요. ^^성래_ 신경이 앞쪽으로 나와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죠.미경_ 이 영화에서 가장 부각되는 부분이 ...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106
CCD)라는 이미지센서도 놀라운 능력을 갖는다. CCD는 광자를 전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빛
에 민감한 물질을 실리콘칩 위에 입혀서 사용하는 집적회로의 한종류로, 보통 화소라고 불리는 기본단위의 광센서가 2차원으로 배열된다. 감도가 사진필름이나 사람의 눈에 비해 1백배나 뛰어나다. 또한 ... ...
고대 그리스·로마 회화 공작새와 연극 가면
과학동아
l
200106
나온다.아마 붓으로 그린 커다란 그림에서 구성을 베껴왔을 것이다. 인물들의 모습은
빛
과 그림자를 적절하게 사용해서 실물감이 두드러져 보이고 자세도 퍽 자연스럽다. 그런데 뒤쪽에 멀리 있는 구경꾼들은 어색해 보인다. 뒤에 있는 건지, 아니면 높은데 올라가서 내려다보는지 정확하지 않다.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06
시각의 보조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빛
과 소리를 함께 주면 사람은
빛
을 더 밝게 인식한다. 그래서 만약 회의 때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터에 소리를 첨가하면 주의 집중이 더 잘 될 수 있다.냄새 벗어나야 후각신호 발생해냄새를 맡게 되는 것은 냄새 분자 속에 있을 때가 아니라 ... ...
② 생명 탄생의 기원지 해저 열수구
과학동아
l
200106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해저는
빛
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식물플랑크톤이
빛
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는 표층에 비해 유기물이 매우 적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물을 먹고 사는 저서생물의 양도 적어야 한다. 더욱이 열수 주변에는 황화가스나 중금속과 같은 독성물질들이 높은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
과학동아
l
200106
않는다. 다른 점은 지구보다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1년의 길이는 두배 가량 되며, 햇
빛
이 약해 지구보다 춥다. 대기는 거의가 이산화탄소이며 약간의 질소와 수증기를 포함한다. 일교차도 심해 한낮에는 22℃까지 올라가지만 밤에는 영하 1백33℃까지 떨어진다.‘걸리버 여행기’에 나온 화성의 ... ...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06
발광다이오드와 광센서의 일종인 포토다이오드가 사용된다. 즉 발광다이오드에서 나온
빛
이 렌즈로 집속돼 레이저광이 되고 이 레이저광은 바코드에 비춰져 다시 반사된다. 반사된 레이저광은 포토다이오드에서 감지돼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자동 수도꼭지수도꼭지가 없고 손만 갖다대면 ... ...
신약개발에 공헌하는 '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06
실험은 여기에서 행해진다.하지만 아직 소개되지 않은 중요 장치가 있다. 진공장치다.
빛
의 속도로 가속된 전자가 지나가는 곳은 필수적으로 초고진공상태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입자와 충돌해 사라져 버리고 만다. 이 외에도 전체 가속기 시스템이 제대로 운영되는지를 진단할 수 있는 ... ...
③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과학동아
l
200106
맞게 특수하게 발달시키는 방법이다. 어두운 심해에서 광감각기를 포기하지 않고
빛
을 내는 발광기관을 발달시키면 먹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광감각기 대신 움직임을 느끼는 진동감각기관을 발달시키거나, 소리를 듣는 청각기관을 발달시키기도 한다. 또 자신이 필요한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