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의 마술봉으로 사라지는 그림
과학동아
l
200104
즉 컵의 구멍을 손가락으로 막아서 두컵 사이에 공기 층을 만들면 안쪽 컵에서 나오는
빛
이 전반사돼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따라서 안쪽 컵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그러나 손가락을 떼서 두컵 사이에 물이 들어가면 공기층이 사라져 더이상 전반사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완전한 ... ...
생명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104
모든 생명체들이 지니고 있는 16가지 공통점에 대해, 2장 에너지는 생명체가 어떻게
빛
과 같은 에너지를 이용해 생명을 유지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3장 유전자에서는 DNA를 구성하는 4염기(A, G, C, T)가 어떻게 모든 생명체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일까를 담고 있으며, 4장 생명장치는 DNA가 ... ...
철로와 바퀴 상태 알아내는 광섬유 센서
과학동아
l
200103
방법을 이용했다”고 센서의 적용 원리를 설명했다.이 외에도 광섬유가 휘어지면
빛
이 광섬유 밖으로 유출돼 신호가 약해지는 극소변형효과를 이용한 센서도 개발됐다. 연구팀은 철도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해, 열차가 센서 위를 통과할 때 바퀴와 철로 사이의 힘을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03
두개의 형광분자의 형광정도를 변화시킨다. 가위의 양날 모양이 변화에 따라 전구의 불
빛
이 달라지는 것처럼 말이다.현재 단일분자 FRET를 통해 생체분자가 실시간으로 기능하는 동안 일어나는 구조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왜 그럴까. 이를 통해 어떤 새로운 정보를 알아낼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03
빛
이 나지 않다가 어느 순간부터 불
빛
이 들어오고, 돌리는 속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양의
빛
을 내게 하는 것에는 다른 장치가 바퀴 내부에 숨어있다고 한다.발광 바퀴에 응용된 과학적 원리는 단순하다. 하지만 이를 실용화할 수 있는 제품으로 만들어내는데는 여러가지 노하우가 필요하다. 간단한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03
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생각해보자. 아마도 연필심으로 쓰이는 흑연과 아름다운
빛
과 강도를 자랑하는 다이아몬드가 쉽게 머리에 떠오를 것이다. 그러나 꿈의 물질로 일컬어지면서 각광받고 있는 탄소나노튜브도 탄소로 이뤄진 물질.같은 탄소로 이뤄졌으면서도 탄소나노튜브를 이처럼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03
날씨가 좋다면 매일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달. 흔히 보이기 때문에 관측하는데 소홀하기 쉽지만 맨눈이 아닌 쌍안경으로 본다면 흥미진진한 세계가 펼쳐 ... 계곡은 거대한 산맥을 자를듯이 어두운 줄기 모양으로 걸쳐 있기 때문에 상현이 돼 햇
빛
이 비치기 시작하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03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탁월한 약효를 지닌 신물질이 부작용 때문에
빛
을 보지 못하는 경우도 흔하고 일부 집단에게만 약효가 있어 상품화에 이르지 못하는 예도 있다.SNP 연구는 이런 약물들 상당수를 구제할 전망이다. 약물에 대한 부작용이나 효과 없음은 특정 유전자의 SNP에 따른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
과학동아
l
200103
수 없다. 녹은 립스틱이 다공성의 캔버스 천 속으로 더욱 깊이 침투해 보기 흉한 핑크
빛
자국이 남을 것이 뻔했다. 앤디 워홀 미술관은 궁리 끝에 산소 원자 복원법 사례를 기억해내고 NASA에 도움을 요청했다.NASA는 ‘욕조’의 경우도 복원을 확신했다. 립스틱의 성분 역시 화재의 검댕과 마찬가지로 ... ...
양자역학 뛰어넘은 플라스틱 LED
과학동아
l
200103
무작위로 변환시켜
빛
을 내지 못하는 3가지 경우에도 전자와 정공이 결합할 수 있게 해
빛
전환 효율이 양자역학적 한계인 25%를 넘을 수 있었다. 백열전구 수명이 1천시간, 3파장 전구는 1만시간인데 반해 LED는 1백만시간에 달해 기존 전구를 대체할 전망이다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