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다윈-OP’, 보조 마술사 로봇 ‘마지’ 등이 전시됐답니다. 데니스 홍 교수님은 직접 여러 로봇들을 시연해 보이며 로봇의 특징과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셨어요. “기존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왜 이렇게 느리고 잘 넘어질까요? 사람처럼 걷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걸을 때 골반이 ... ...
- [쇼킹 사이언스] 폭발하는 화산에서 푸른 빛이 번쩍! 화산번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멕시코, 일본, 인도네시아 등 여러 나라의 화산에서 발견되었답니다. 화산이 폭발하면 여러 가지 물질이 함께 분출 돼요. 땅 속 200km에 고여 있던 마그마가 붉은색 액체 상태로 흘러나오는 용암, 고체 상태의 화산탄과 화산재, 기체 상태의 화산 가스 등이 가장 대표적인 분출물이지요. 이중에서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술과 결합했을 때 가장 빛을 발할 수 있는 콘텐츠가 아닐까. 여행이 주는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것은 다른 시간대와 공간에 존재한다는 느낌이다. 문제는 이런 느낌을 돈, 시간, 건강 세 가지 중 어느 하나라도 부족하면 얻을 수 없다는 것. 한 달에 절반은 취재, 절반은 마감을 하는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각종 유전자를 교정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유전자는 한 종류가 여러 기능을 갖는 경우가 많아 무턱대고 편집해 버리지는 않는다. 그보다 거부반응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돼지에게 추가로 끼워 넣는 경우가 많다. 현재 급성 거부반응은 인간의 유전자(hCD45, hCD55, hCD59, hsCR1) 가운데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험용 곤충)으로 바구미를, 공시균(시험용 세균)으로 검은 곰팡이를 함께 넣는다”며 “여러 위치의 공시충과 공시균이 활성을 띠지 않아야 훈증이 제대로 된 것”이라고 말했다. 훈증을 마친 부재들은 최종적으로 조사 단계를 밟는다. 수종이 무엇인지, 연대가 언제인지, 단청이 있는지 없는지,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뉴런 연구에 도입되기까지는 30년 이상의 긴 시간이 걸렸습니다. 유전자를 조작하거나 여러 화학물질을 이용해 포유류의 뉴런에 맞는 이온채널을 제작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많은 연구자들이 계속되는 실패로 낙담하고 있던 그때, 칼 다이서로스(Karl Deisseroth)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아주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조합은 전압과 주파수 등의 조합에 따라 경우의 수가 무한대”라며 “하나의 칩에서 여러 조건을 동시에 실험하는 바이오칩은 세계적으로 보고된 적이 없는 새로운 기술”이라고 말했다. 바이오칩 개발에는 신 연구원의 공이 컸다. 처음에는 칩에서 세포가 자라는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전기자극을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연구실에서 단백질 연구에 참여한다. 단백질은 DNA에 의해 큰분자로 조립된 뒤 로봇처럼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어떻게 조립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오 씨는 “고등학교 때 R&E에 실패했던 일이 오히려 이후 성적 향상의 계기가 됐다”며 “실패가 힘을 낼 수 있게 만드는 기폭제가 ... ...
-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러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성간 물질 중 무거운 원소의 양은 점점 증가했으며, 우주의 여러 천체들과 지구의 생명체를 이루는 원소들은 이러한 별의 탄생과 진화 과정에서 만들어진 원소들에 의해 이뤄지게 됐다. 별의 탄생과 진화 그리고 소멸 과정을 통해 현재 지구상을 이루는 물질이 생성된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아름답다’, 어떤 사람은 ‘눈이 부시다’라고 달리 표현하는 것처럼 같은 명제를 여러 사람이 다르게 표현할 일도 없고요. 그리고 인공지능에게 수학을 가르쳐줄 때는 말로 하면 못 알아들을 테니 이런 기호를 입력하고 기호를 순서에 맞게 나열하는 규칙을 입력하면 되지요. 힐베르트는 ... ...
이전288289290291292293294295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