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무너진 건물에서 사람을 구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방향을 조절하면 자라나는 방향도 마음대로 바꿀 수 있지요. 반면 뱀 로봇은 몸통이 여러 개의 관절로 되어 있고, 머리에 카메라가 달려 있어요. 관절 각각을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회전 시킬 수 있지요. 그래서 기어가는 것은 물론, 좁은 틈을 비집고 들어가거나 기둥을 오르고, 수영까지 할 수 ... ...
- [가상인터뷰] 야생종으로 바나나의 멸종을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제대로 작동하도록 조작해 새로운 품종을 만들었어요. 새로 개발한 신품종과 캐번디시를 여러 지역에서 3년 동안 재배해 봤지요. 그 결과, 캐번디시는 평균 20% 정도가 살아남은 반면 신품종은 적게는 67%, 많게는 모든 개체가 살아남았어요. 알리: 이제 파나마병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거야? 무사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 로봇으로 미션을 수행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꼬불꼬불한 선으로 이어져 있어요. 미로와 같은 선이 중간중간 여러 갈래로 나눠져 있지요. 올바른 길로 가기 위해 선 길목마다 코딩펫이 인식할 수 있는 표시를 해 줘야 해요. 예를 들어 갈래 길에서 보라색 점을 찍어놓으면 왼쪽으로 가고, 초록색 점을 찍어놓으면 직진을 ... ...
- [가상인터뷰] 새로운 사냥법을 개발한 브라이드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몰려 있어요. 타이만으로 흘러드는 강에 섞인 생활하수 때문이지요. 생활하수에는 여러 미생물이 포함돼 있는데, 이 미생물이 생명활동을 하면서 물에 녹아 있는 산소를 사용해요. 그 결과, 물고기들이 호흡할 산소가 부족해져 숨을 쉴 수 없게 되지요. 그래서 물고기들이 산소를 찾아 수면 쪽으로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어두운 밤을 지키기 위해서 1988년 설립된 단체지요. 여기서는 빛 공해를 줄이기 위해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있답니다. 특히 국제밤하늘협회는 2001년부터 어두운 밤을 유지하고 있는 세계 곳곳을 찾아 ‘국제 밤하늘 보호 공원’으로 지정하고 있어요. 별빛이 가득한 아름다운 밤을 사람들에게 ...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머리뼈 용도에 대한 논쟁은 계속 될 것으로 보여요. 지난 1년간 여러분과 함께 했던 공룡의 세계탐험을 마쳐야 할 시간이에요. 이야기는 끝나지만, 발굴 현장에서 공룡을 만나는 과학자들의 연구는 계속 이어질 거예요. 앞으로 새롭게 발견되는 공룡 이야기를 다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의 방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소리가 다시 자신의 귀로 돌아오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지요. 반면 침대나 책장 등 여러 가지 물건이 모여 있는 공간에서는 소리가 물건에 흡수돼서 잘 울리지 않는답니다. 이처럼 소리는 주변 환경에 따라 흡수되기도 하고, 반사되기도 해요. 그런데 미국항공우주국(NASA)이나 유럽우주국(ESA)에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연구원의 설명이 끝나고, 친구들은 여러 대의 드론이 군집비행을 하는 영상을 봤어요. 여러 대의 드론이 열을맞춰 움직이는 장면을 보고, 친구들은 감탄했답니다. 연구실 탐방을 마친 강민재 친구는 “평소에 보지 못했던 다양한 드론을 직접 볼 수 있어서 무척 좋았다”며, “드론을 타고 ... ...
- 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만들어 운영할 때보다 비용도 적게 들지요. 따라서 최근에는 다목적 위성 대신 큐브샛 여러 대를 쏘아올려 동시에 지구를 관측하는 프로젝트가 늘고 있어요. 대표적인 예는 ‘QB50 프로젝트’예요. 21개국의 대학교와 연구소에서 개발한 큐브샛 50기를 우주로 쏘아올려 지구 저고도의 이온층과 열권의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내려오는 짧은 시간 동안 위성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었지요. 캔을 날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예요. 발사체를 대신해 기구를 캔에 달아 띄우거나, 작은 로켓으로 하늘에 올릴 수 있어요. 최근에는 드론에 캔위성을 매달아 하늘에서 내려놓는 방법도 있답니다. 캔위성은 지금까지도 학생들의 교육에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