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아래쪽을 가리켰다. 스티스와 닉모스였다. 두기의 최고급 장비는 은박에 싸인
채
허블망원경 동체를 본딴 에뮬레이터 옆에 놓여 있었다. “저 두가지는 인간이 만들어낸 가장 정교한 기계”라고 말하는 박사의 말에서 첨탑같은 긍지가 느껴졌다.NASA 고다드에서는 70년대에 ‘실현 불가능’ 판정을 ... ...
화석수집열풍 지구비밀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편. 한 예로 강원도기념물 57호로 지정된 태백시 일대 삼엽충 화석 산출지에는 최근 전문
채
취꾼들이 드나들며 화석을 캐내느라 깨진 바위조각이 늘어나고 있다.또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념물처럼 법으로 유출이 금지된 품목이 아니라면 화석이 국외로 나가는 것을 막을 근거가 없다. ... ...
시내요금으로 국제전화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기존 전화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전화 이용자는 인터넷폰이라는 사실을 전혀 눈치
채
지 못할 정도로 획기적이다. 전문가들은 조만간 더욱 개선된 전화 대 전화 방식의 3세대 인터넷폰 방식이 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음성 데이터가 공중통신망을 거치지 않고 인터넷망을 통해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주변의 전원코드에 연결할 플러그 정도에 그칠지 모른다. 인공심장을 몸 속에 넣은
채
‘가볍게’ 움직일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아직 사람에게 적용된 사례는 없다. 전기식 완전이식형이 목표우리나라는 1984년 이후 서울대 의대 의공학교실에서 전기식 완전이식형 심장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 ...
캠프촌에서 열리는 해커회의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삐쩍 마른 몸, 수줍음을 많이 타는 소년의 모습이다. 사람들은 이들이 골방에 처박힌
채
빠져들어갈 듯 모니터를 쳐다볼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최근 네덜란드의 해커들은 이같은 인식을 깨고 유럽의 해커들과 프리커(phone phreaker: 공짜로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하는 사람들), ... ...
한반도공룡파노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울주구 둔기리 대동으로 향했다. 대암호(湖)의 줄기인 대동에서는 공룡이 싸질러놓은 집
채
만한 똥을 보았다. 희끗하게 보이는 노란색이 똥의 사실미를 더했지만 결코 똥일 리가 없다. 이미 똥과 같은 유기물질은 규산과 같은 무기물질에 의해 치환됐기 때문이다. 대동에서 시큼한 공룡의 똥냄새를 ... ...
잘못 알려진 코리올리 효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변기의 물이 빠져나갈 때의 회전방향은 지구 자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물이
채
워지면서 생기는 회전이나 교란(세척이라고 부르는)에 의한 것이다. 지구 자전은 대규모의 기상현상이나 대양에서 발생하는 큰 회오리바람에게 영향을 끼친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오래 지속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아주 ... ...
3. 아무리 복잡해도 한눈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해주는 상호 보완적 관계이다. 어떤 경우에도 어느 하나를 배제한
채
한가지 수단에만 의존해서는 그 효과를 거둘 수 없다. 문자 정보는 아이콘의 의미를 쉽게 학습하게 도와줄 수 있으며, 아이콘은 문자 정보의 불완전한 메시지를 보완해줄 수 있다. 따라서 전달하고자 하는 ... ...
웹인터내셔널 대표 윤석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수많은 정보 중 최고의 것으로 단연 뉴스 서비스를 꼽겠다. 세계의 웬만큼 알려진 뉴스메
채
들은 대부분 인터넷에 홈페이지를 두고 있는데, 이들이 제공하는 뉴스는 양으로나 신속성에 있어서나 다른 정보를 압도하고 있다.문제는 인터넷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가 워낙 광대해서 오히려 필요한 뉴스 ... ...
1. 아이콘에도 문법이 있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아이콘에 대응하는 개념으로서, 즉 다양한 음향으로 정보전달을 돕는 오디콘(audicon)의
채
용은 보다 정확한 정보의 전달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앞으로 멀티미디어의 보급으로 아이콘은 보편화되며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아이콘 역시 심벌로서의 지적소유권 문제가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