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차이가 납니다. 한편 개표가 상당 부분 진행 돼 아직 개표하지 않은 표를 2위 후보자가 모두 가져가도 1위를 따라잡지 못하면 ‘당선’이라고 알립니다. [D+7] 결과 스트레스 이겨내야 선거가 끝나면 누군가는 웃고 누군가는 울게 됩니다. ‘내 후보’가 당선되지 않았을 때 오는 스트레스가 ... ...
- [Culture] 세상의 모든 사이비과학에 경고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소재 20개를 다뤘다. 수소수, 저지방 우유, 전자파 차단 스티커, 에너지 드링크, 생식 등 모두 친숙한 소재들이다. 주인공인 고혜람은 대학 시절 교수님을 모델로 삼았다. 안 씨가 기억하는 교수님은 유사과학 비판에 수업 시간의 대부분을 할애할 만큼 유사과학 타파에 열정적이었다. 전자파를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것이다. 강 수석연구원은 “닐슨 교수팀은 미국과 일본에 있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모두 사용했지만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로 실험한 뒤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그만큼 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성능이 뛰어나다는 뜻이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물질 내부를 ... ...
- [이투스교육] 국제 분업과 무역 & 자산 관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의류나 신발 기술도 뛰어나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나라가 반도체와 섬유 제품을 모두 생산한다면 집중할 수 있는 재화가 분산돼 이윤을 극대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잘 만들 수 있는 반도체를 특화해 생산한 뒤 다른 나라에 수출하고, 다른 나라에서 만든 섬유 제품을 수익하는 것이 ...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나머지는 적에게 접근해 적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줄이는 거야. 시뮬레이션해 보면 모두가 적을 쫓는것보다 효과적으로 탈출을 막고 적을 잡을 수도 있었어. 축구로 따지면 사각형은 운동장이고 입구는 골대, 적은 공격수 1명, 추격자는 수비수야. 협력 수비를 하려면 공격수에게 직접 가서 공을 ... ...
- Part 3. 수학과 예술을 잇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낼 수 있었어요. 그렇다고 제가 수론에만 관심이 있는 건 아니에요. 음악 구성 요소는 모두 수학에 뿌리를 두고 있어서 작곡할 때도 수학을 써요. 수학과 음악이 만나면 더 멋진 곡이 된답니다. 확인하고 싶다면 제가 쓴 ‘100 Seconds of Pi’와 ‘Measure This’를 들어보세요. ▲ 헤디 라머 1914~2000직업 -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주요 화면은 3차원 공간 좌표로 돼 있다. 위치는 물론이고 회전 방향, 도형의 크기 모두 좌표로 조절한다. 한캐드로 물체를 설계하다 보면 다양한 입체도형과 좌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공간지각능력이 자연스럽게 키워지는 건 덤이다. 디자인에서 코딩까지 한 번에!한캐드로 디자인한 물체를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폴즈’예요. 그는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지문을 유심히 들여다 보다가 사람들의 지문이 모두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그리고 이런 지문의 특징을 이용하면 범인을 잡는 확실한 증거로 쓸 수 있다고 생각하고, 지문을 구별하는 방법을 개발해 1880년 논문으로 출판했답니다. 20세기 초반부터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피젯 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가지고 있었지만, 갑자기 사라져 버렸지요. 그래서 태양풍으로 인해 화성의 대기는 모두 휩쓸려 나가 현재의 황량한 모습이 되었답니다. 화성에 자기장이 없는 건 인류의 화성 이주 프로젝트에 가장 큰 걸림돌이에요. 태양에서 날아오는 해로운 방사선들을 막아 줄 수 없기 때문이지요. 2017년 3월, ... ...
- Part 1. 가짜 방귀의 자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방귀를 뀌는지 여부, 설명, 작성자 ID 등을 문서로 정리해 나간 거예요. 약 1년이 지나자 모두 86종의 동물에 대한 방귀 정보가 한 문서 안에 담겼어요. 그 안엔 다니엘라가 연구하고 있는 아프리카 들개를 비롯해 박쥐, 치타, 기린 등의 동물이 방귀를 뀌는지, 어떤 음식을 먹었을 때 특히 냄새가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