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같은 수학 강의를 듣고 듀크대 수학과 학생과 교수를 직접 만날 수 있다.도브시 교수는 “
미국
에서 여성 수학자가 드문 이유는 이공 계열을 지망하는 학생들이 적기 때문”이라며, “학생들에게 수학이 얼마나 흥미로운 학문인지 알려주고 수학자의 연구 방식을 경험하게 해 이공 계열에 진학하도록 ...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종이와 비슷한 것이라고 생각해왔어요. 하지만 2019년 3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
미국
물리학회’에서 수학자 샨카 벤카타라마니는 주름진 곡면은 가우스 곡률이 음수인 쌍곡면의 한 형태이면서 아주 독특한 개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어요. 쌍곡면의 대표적인 형태인 말 안장 ... ...
대륙 스케일 자랑하는 중국판 SF '유랑지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미국
할리우드의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많이 봤을 법한 이야기입니다. 그래도 매번
미국
인이 세계를 구하는 영화만 보다가 우리나라 사람은 아니어도 외모가 비슷한 동양인이 세계를 구하는 이야기를 보니 색다르고 즐거웠습니다. 그리고 블록버스터 영화답게 화려한 볼거리가 많습니다. 태양에서 ... ...
나라를 구한 의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민족이 건강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위생이 중요하다는 점을 깨달았지요. 그래서 1925년
미국
존스홉킨스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 박사 학위를 받고, 국내로 돌아와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조교수로 취임해 위생학 교실을 만들었답니다.당시 조선에서는 경찰을 중심으로 강압적인 위생 활동이 ... ...
새로운 인류 조상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손가락과 발가락이 휘어있어 나무를 타기 좋은 신체 구조를 가졌다.윌리엄 정거스
미국
스토니브룩대 해부학 명예교수는 “호모 루조넨시스의 발견은 인류의 진화가 알려진 것보다 더 복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9-1067-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것으로 유명하다. 최근 이 행성계에서 새로운 행성이 추가로 확인됐다. 제롬 오로스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천문학과 교수팀이 케플러-47의 두 행성 사이에서 중심 항성을 공전하고 있는 세 번째 행성을 발견해 ‘케플러-47d’로 이름 붙였다고 국제학술지 ‘천문학 저널’ 4월 16일자에 발표했다 ... ...
[혀의 진화] 혀를 정복하려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38명이 새로운 회원이 됐다. 강영욱 씨(화공생명공학과 1학년)는 “2012년을 기점으로
미국
의 유명 래퍼 에미넴의 스타일이 바뀌었다”며 “다소 화난 듯 세상에 대해 랩을 늘어놓는 에미넴에 반해 랩을 할 방법을 찾다가 RYU에 가입하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RYU 전체 회원은 50명가량이다 ... ...
[수학뉴스] 처음으로 포착한 블랙홀의 그림자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모습을 사진으로 만들었는데 거의 같은 모양이었습니다. 연구를 이끈 쉐퍼드 도엘레만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센터 교수는 “세계 최고의 망원경들을 연결하고 혁신적인 알고리듬을 도입해 블랙홀 연구에 새 장을 열었다”고 말했습니다. ... ...
[정수론 어벤져스] 열정과 노력으로 골드바흐의 추측에 도전!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소수의 개수를 16개로 줄였어요. 이후 한계를 14, 13개까지 연이어 줄이자 데슐리에 교수는
미국
프린스턴고등연구소에 저를 데려가서 결과를 발표할 수 있게 해줬어요. 발표하기 직전까지 계속 연구를 하면서 소수 11개만 있으면 4 이상의 모든 정수를 표현할 수 있다는 걸 증명했죠.그리고 그 발표를 ... ...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본인 같은 여성 수학자 양성에 힘쓰는 이유는 울렌백 교수의 경험과 무관하지 않다.
미국
브랜다이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첫 직장을 구하는 시기에 울렌백 교수는 여자라는 이유로 원하는 대학에서 직장 잡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비주류 기관에서만 연구를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