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암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돌연변이가 어떻게 생겨나 암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야 한다.그러나 이 부분은 그동안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이미 발생한 암세포에 어떤 약을 투약해야 암세포가 효과적으로 사멸될 것인가가 더 중요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산화탄소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는 물과 섞여 탄산이 되므로, 발효가 진행될수록 반죽 속 pH는 점점 낮아진다(약산성). 효모가 반죽을 발효시키도록 하는 효소인 α-아밀레이스와 β-아밀레이스, 프로티에이스는 약산성인 환경(pH가 각각 4.8과 5.2, 4.1)에서 가장 활성화된다. 그래서 pH가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양 태아를 키울 수 있었지만 동물 실험 규정에 의한 실험 기간 제한으로 최대 28일 동안만 진행했다. 수정된 지 105일에서 120일 된 양 태아를 선택한 이유는 임신 23~24주 된 사람 태아와 태내 발달 정도가 생물학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이다. 임신 기간이 총 145일인 양은 대략 수정된 지 100~120일에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애벌레의 침샘이나 장내 공생세균에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효소를 찾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플라스틱 먹는 ‘환경 곤충’들이전에도 플라스틱을 먹는 애벌레가 발견된 적이 있다.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애벌레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애벌레다. 화랑곡나방은 ... ...
- [Issue] 과학강국의 이면, 인도 ‘다리 밑 학교’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냉장고를 모를 것”이라며 “한국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수업 진행에 걱정이 많았지만, 의외로 학생들은 재미있게 잘 따라왔다. 자석으로 귀걸이를 만들거나, 잠망경을 이용해 학생들끼리 장난도 치는 등 빠르게 과학적 원리를 익혔다. 쿠마르 교장은 “지속적인 교육을 받으면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최근 ‘공부하는 해외여행’이 주목받고 있다. 해외여행이 보편화되면서 단순히 보고, 먹고, 쉬다가 오는 것보다, 자연과 문명, 미래에 대한 통찰 ... 참가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캠프는 7월 27일부터 8월 7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6월 16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암세포도 생명인데 죽일 수 없다.”2013년 방영됐던 드라마 ‘오로라 공주(극본 임성한)’에서 수많은 시청자를 ‘멘붕’에 빠뜨렸던 대사다. 혹시 이 대사에 황당함을 느끼셨는지. 하지만 이번 기사를 읽고나면, 어쩌면 묘한 통찰(?)을 담은 대사라는 생각이 들지 모른다. 자연의 생명체들처럼 암 ... ...
- 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단단하고 긴 바게트, 촉촉한 속살이 맛있는 식빵, 소라처럼 돌돌 말려 있는 크루아상, 달콤한 팥이 가득한 호빵, 상큼한 올리브가 콕콕 박혀 있는 치아바타, 납작한 주머니를 열어 양고기와 채소를 듬뿍 넣어 먹는 피타…. 세상에는 셀 수도 없이 많은 빵이 있다.대륙마다 나라마다, 그리고 빵마다 생 ... ...
- 아이팝콘으로 만드는 온도계 ‘액션코딩 아이팝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우리 주변에 있는 전자기기는 소프트웨어를 품고 있어요. TV, 냉장고, 에어컨, 전기밥솥 모두 소프트웨어가 있어야 합니다. 아주 간단해 보이는 전자온도계도 마찬가지예요. 온도 센서에서 측정한 수치를 화면에 나타내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요.아이팝콘에는 다양한 센서가 들어있어서, 이를 활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너무 편해서 그래요. 내가 일어나라고 이마를 두드려야 일어나게 될 거예요!설 소장의 진행에 맞춰 30여 분이 지난 뒤 일어섰다. 결론을 말하면 진짜로 아버지를 만나거나 최면에 빠지지는 않았다. 잠시 누워서 설 소장이 이끄는 대로 대답하고 행동했을 뿐 최면에 걸린 것은 결코 아니라고 말했다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