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이용해 얻는 방법이다. 큰 출력의 레이저나 고에너지 입자빔을 이용해 구슬 형태의 연료
표면
을 균일하게 가열한다. 짧은 시간에 많은 에너지를 흡수한 연료구슬의 최외각층은 플라스마가 돼 급격하게 팽창한다. 이때 팽창의 관성에 대한 강한 반작용 때문에 반대쪽인 연료구슬 내부방향으로 ... ...
격리된 방에서 교신하려면?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소리에너지는
표면
이 매끈할 때 더 크고
표면
이 거칠 때 작다. 따라서 풍선의 안쪽 벽
표면
이 매끄러울수록 소리의 반사는 좀더 잘 이뤄진다.방이나 강당 또는 연주회장의 벽은 매끄러울수록 소리 전달에 좋을까. 방이나 강당 또는 연주회장의 벽이 소리를 너무 잘 반사시키면 소리가 변질되고, 너무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타이로신 복합체를 만든다. 이 타이로신 복합체는 세포 밖으로 나가 다른 조혈모세포
표면
의 타이로신 리셉터에 결합해 세포 안으로 ‘세포분열을 계속 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끊임없이 세포가 분열하는 원인이다. 글리벡은 BCR-ABL과 결합하는 ATP를 경쟁적으로 방해해 결국 타이로신 복합체를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주사 터널링 현미경) 같은 장치에 비하면 업적이 미미하다(STM은 최초로 실리콘의
표면
영상을 얻었다).오랜 세월이 흐르고 나면 일반적으로 실험분야의 노벨수상자 업적이 이론분야의 업적보다 좀 퇴색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 워스트3으로 뽑혔지만 세사람의 업적도 당시에는 큰 기여를 ... ...
왕초보자 위한 마라톤 훈련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않으면서, 평탄하며 약간의 탄력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나무나 흙, 잔디와 같이
표면
이 부드러운 장소가 딱딱한 아스팔트와 같은 도로보다 다리에 충격을 덜 준다.그럼 초보자에게는 어떤 훈련방법이 적절할까. 30/30훈련계획을 적용하거나 이를 자신에게 맞게 응용하는 것이다. 전혀 뛰어본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유도한다. 셋째로 어떤 암세포는 점액성 단백질(mucoprotein, sialomucin)을 자신의
표면
에 뒤집어 써 T세포의 가시권에서 벗어난다. 넷째로 이른바 방해 항체(blocking antibody)를 만들어 자신(암세포)에게 붙임으로써 면역시스템의 눈에 띄기 쉬운 염증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서 T세포가 자신을 발견하지 ... ...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또한 광섬유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부도체이기 때문에 전기가 도체에 흐를때
표면
에서 발생하는 손실 현상이 없어진다.이러한 광섬유의 장점을 살리면 음성 데이터와 대용량 디지털 비디오 등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전송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펼칠 수 있다. 광통신이 미래에 가장 ... ...
문화재의 영생 과학으로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먼저 연구팀은 금동관의 구조와 현재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현미경과 X선을 이용한다.
표면
에 부착된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정밀 조사한 후 기록해야 하며,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은 문양이나 미세 구조를 X선 촬영장치를 통해 확인하고 분석한다.X선을 이용해 인체의 내부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 ...
소행성 에로스 미스터리 둘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많은 기대를 모았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가 지난 9월 27일 네이처에 실렸다.에로스
표면
사진을 보면, 돌조각과 작은 암석, 그리고 다른 암석 파편으로 덮여있다. 어떻게 질량이 적은 소행성에 이들이 남아있을 수 있었을까. 소행성은 중력이 약하기 때문에 어떤 물체라도 초속 수m로 움직이면 쉽게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즉 유연한 곡선으로 지붕 형태를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조개 껍질이나 달걀이 둥근
표면
을 갖는 이유는 가장 적은 재료로 가장 강한 구조를 만들 수 있는 형태가 그것이기 때문이다. 지붕의 무게가 치명적인 대공간에서는 조개 껍질을 닮은 쉘 구조가 즐겨 채택된다. 지붕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