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스페셜
"
분
"(으)로 총 2,9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공학 미래, 의사와 공학자의 소통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15
“앞으로 국내에서 연매출 3000억원을 넘는 의료기기 기업이 10개 정도 나오면 의공학
분
야의 생태계가 조성돼 인력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세계 시장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의사, 공학자, 기업인 등 의공학과 관련된 사람들이 서로 의견을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게 가장 중요 △전통과 습관 깨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도전해야 △신약 개발 등 새
분
야 개척할 지도자 필요 김성호 교수는 1960년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196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화학 석사 1966년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물리화학 박사 1966~1972년 미국 MIT대 생물학과 연구원 1972~1973년 미국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
동아사이언스
l
2012.07.01
융·복합 연구를 준비 중이다. 구남평 한의학연 홍보팀장은 “체질이나 침, 뜸 등 한의학
분
야에 대해서도 외국 연구자들이 관심이 많은 편”이라며 “18일에는 하버드의대와 업무협약을 맺는 등 앞으로 한의학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이번 BIO 행사에는 중국과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매년 좋은 결과를 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양 단장은 마지막으로 과학자들이 다양한
분
야로 진출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했다. 그는 “연구자들의 환경을 잘 알고 있는 과학자들이 사회 곳곳으로 진출하면 실험실과 정책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양은경 ... ...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인공항체 단백질 설계 기술은 진단이나
분
석용 연구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현재 미국과 유럽 등 국내외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세포 수준에서 입증된 패혈증과 관절염 치료 효과를 동물에게도 적용할 예정이다.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생명과학 최정점에 있는 계획안인 만큼 IT 정보
분
과도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춘근 강원대 교수도 "중복을 피할 수 없다면 각 부처 공동의 로드맵을 만들어 간극을 줄여가라"고 제안했다. 박준기 충북대 교수는 융합을 위해 실제 현장에서 일하는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분
야를 입체적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BT에서 사람에게 적용되는 부
분
을 놓고 위쪽에 정보통신기술(IT), 아래쪽에 나노기술(NT)을 붙인 그림을 내보였다. BT에서 HT를 떼어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른 기술을 융합시키는 구도인 셈이다. “BT가 질병을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누리게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나누다 보면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며 “수립한 계획대로 재원을 확보해 적절하게
분
배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광열 국장의 ‘이것만은 꼭!’ △정부 계획대로 R&D 투자가 될 수 있도록 재정 확보 필요 △R&D의 목표는 젊은 과학자의 육성 박광열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박사 - 1984년~1986년 미국 국립보건원(NIH) 박사후 연구과정 - 1986년~현재 한양대학교
분
자생명과학부 교수 - 1993년~1995년 한양대학교 이과대학 학과장 - 2001년~2003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문위원 - 2004년~2005년 한양대학교 과학기술대학 학장 - 2005년~2007년 차세대성장동력 바이오신약단장기사업단 ... ...
정부 R&D, ‘High Risk, High Return’에 집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22
학사 - 1973년~1975년 서울대 대학원 동물학과 석사 - 1975년~1977년 한국원자력연구소
분
자생물학연구실 연구원 - 1977년~1981년 미국 휴스톤대 생화학과 이학박사 - 1981년~1984년 미국 베일러의대 세포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 - 1984년~1994년 미국 럭키바이오텍-카이론(Chiron) 연구소장, 상무이사 - 1994년~2000년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