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에 놀라기는 커녕 공과 함께 뛰놀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골프장에 최근 갑자기 캥거루들이 나타나 골퍼들을 놀라게 했다.골퍼들은 캥거루들이
곧
물러갈것으로 생각했으나 골프채를 휘두르고 공이 날아가는 다소 무서운 상황에서도 캥거루들은 달아나지 않고 오히려 공을 따라 껑충껑충 뛰기도 했다는것. 골퍼들은 오스트렐리아에서 캥거루들이 ... ...
「냉동인간의 그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좀 더 일찍 풀릴 것이라고 한다. 벌써 꽤 유효한 백신이 등장하고 있을 정도다. 그러나 '
곧
'이지 '당장'은 아니다. 더욱이 금방 생명이 끊어지기 직전인 환자는 기다릴 시간이 없다. 무슨 수를 쓰긴 써야 할텐데….이처럼 삶의 막판에 몰린 환자들의 심리를 이용, 생을 연장시키는 작업이 미국에서 ... ...
하나의 신약이 나오기까지 0.01%의 가능성을 찾는 일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찬 젊은이들이 구슬 땀을 흘리며 '생명현상을 조절하는 열쇠'의 창조에 몰두하는 모습을
곧
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야심에 찬 젊은이여! 오라. 약의 세계로! 그리하여 인류의 질병퇴치와 건강증진에 기여할 신약을 연구하는 보람에 살아보자.아직 미흡한 '국내 최초'조금 지난 얘기지만 국내의 한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모두 미국선수이며, 평영만이 1분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따라서 자유형 1백m 기록은
곧
인간의 한계. 현재 1인자인 비욘디의 기록을 시속으로 환산하면 7.43㎞. 같은 거리 벤 존슨의 육상기록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속도이다.잠수왕-황제펭귄그리 인기있는 종목은 아니지만 50m 수영경기도 있다. 이 ... ...
한 해 선배가 들려주는 대입 최종 마무리 대책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한다는 말입니다. 그래야 좌절감을 줄일 수 있어요.이렇게 어렵게 학과를 정하고 나면
곧
시험날짜가 찾아 오지요. 시험 하루 전날은 매우 델리키트한 날인데 어떻게들 보냈읍니까?●휴식시간에 본 문제가 나와정―어려웠던 과목의 노트나 참고서를 가볍게 넘기면서 보냈고 일찍 잠을 청했지요. ... ...
기형발생 인자의 정체는?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그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임산부가 풍진으로 여겨지는 환자와 접촉한 경우에는
곧
혈청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때 풍진항체의 존재가 증명된다면 태아에게 감염될 염려는 없다.그러나 풍진항체가 음성이면서 혈액내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경우는 태아감염에 대비한 특별한 예방방법이 없으므로 ... ...
PC의 새로운 얼굴들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그러나 생활정보서비스의 종류와 질이 높아지고 모뎀 보유자가 늘어나는 추세인만큼
곧
통신의 보편화가 이루어지리라고 믿는다.IBM PC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통신 소프트웨어로는 크로스톡(Crosstalk), 프로콤(Procomm), 커밋(Kermit) 등이 있다. 현재 한글 매뉴얼이 나와 있는 것은 크로스톡뿐이다.연재를 ... ...
화씨 932도의 에너지를 찾아 굴착시작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사용하는것뿐. 그러나 미국 지질조사소가 추산한 바로는 마그마의 에너지는 굉장해서
곧
파헤치기 시작할 캘리포니아 중부지역의 지하 수마일 아래에는 미국이 1년에 사용하는 에너지의 6백~6천배나 되는 에너지가 숨겨져 있다는것.굴착지점은 '요세미티'국립공원 남동쪽20마일 지점이며 이곳은 약 7 ... ...
북해에서 물개 2천여마리 떼죽음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해저유전으로 유명한 북해에서 최근 물개가 떼죽음을 당했다. 벌써 2천마리 이상이 희생당했는데, 스웨덴에서는 지난 달에만 총 5천마리중 1천2백마리가 죽었다. 이 ... 것으로 모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살아있는 물개는 분명 면역성이 있을 것이고, 전염병은
곧
자취를 감추게 될 것이다 ... ...
「어린 뚱보」가 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야식(夜食)을 하게 되면 체중조절은 실패로 끝나기가 쉽다. 야식 후에는 대부분
곧
잠자리에 들기 때문에 열량이 고스란히 몸안에 남기 때문이다.또 좋아하는 음식만 골라서 먹다보면 섬유소의 섭취부족이 되기 쉽다. 섬유소의 섭취량이 적으면 변비의 원인이 된다. 이때 과일과 야채류를 충분히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