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오른쪽 방향)에, 유도된 전하에 의한 전기장(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이 더해진다. 이 둘은 방향이 반대일 뿐 아니라 크기가 같기 때문에 두 전기장이 완전히 상쇄돼 내부 전기장이 ‘0’이 된다. 따라서 속이 빈 금속 내부에 있는 물체에는 전기가 통하지 않으며, 이를 ‘전기 차폐’라고 부른다 ... ...
- 국산 기술로 시속 300km 달린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사용했었다. KTX-II는 외형만 봐도 KTX와는 확실히 다르다. 장거리 승객의 불만이던 역방향 좌석은 전부 회전식으로 바꿨다. 의자 간격도 930mm에서 980mm로 50mm 더 넓혔다. 터널 내 소음도 감소했다. 73dB이던 객실소음을 71dB로, 85dB이던 운전실 소음은 83dB 이하로 개선했다. 노트북 사용을 고려해 특실과 ... ...
- 탄소 다이어트 집에서 따라하기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수 없이 소비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며 “쓸 때는 쓰면서 불필요한 낭비를 없애는 방향으로 감량에 힘썼다”고 말한다. 올해 중학교 3학년인 딸 주인이와 초등학교 3학년인 태건이의 엄마이자 네 가족의 살림을 책임지고 있는 그녀는 생활 속 조그만 습관을 고치는 데서 방법을 찾았다.내 ...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위해서 위성은 가로, 세로, 높이 세 축을 조절하는 동시에 세 축으로 움직이는 센서의 방향까지 정밀하게 조정해야 한다.이런 노력의 결과일까. 고고학에서는 구글지도를 새로운 연구수단으로 이미 인정하고 있는 분위기다. 요즘 고고학 연구는 실제 탐사현장이 아닌 연구실의 컴퓨터 앞에서 ... ...
- ‘녹색’ 수소 만드는 인공 잎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구조대로 남는다. 이 인공 잎의 표면에는 렌즈와 비슷한 세포가 모여 있어 햇빛이 어느 방향으로 들어오든 모두 잡아낼 수 있다.연구팀은 이 인공 잎에 두께 10nm(나노미터, 1nm=10-9m)의 ‘티카로이드’라고 부르는 인공 구조물을 넣는 방식으로 빛을 잡는 효율을 높였다. 팬 박사는 “물을 분해해 ... ...
- “여기는 아라온호, 남극 대륙이 눈앞에 보인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얼음을 깨는 ‘아이스실링’이라는 특수 장치가 준비돼 있다. 또 배를 제자리에서 180°로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그런데도 배가 옴짝달싹 못하게 될 경우 함께 항해하는 더 큰 쇄빙선에게 도움을 구하면 된다.”●제2 남극기지의 후보지로 꼽히는 케이프벅스와 테라노바베이에서는 어떤 활동을 ...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끝난 뒤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융합과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방향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국가핵심연구센터(NCRC) 박영준 협의회장(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은 “융합부분 연구 과제는 지원 기간이 더 길어야 하며 후속 연구에도 투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재승 KAIST ...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과학동아 l2010년 02호
- 통 속의 액체를 걸러서 종이를 뜬다.한지는 전통방식인 외발로 뜨는데 물을 가로, 세로 방향으로 번갈아 흘려보내 우물정(井)자 모양으로 종이결을 얽히게 만든다. 특히 두 장의 습지를 하나로 합쳐 합지를 만들기 때문에 종이가 더욱 질기고 강해진다.이렇게 해서 대나무발 위에 물기가 남아 있는 ... ...
- 둘째 날 알쏭달쏭 신기한 세계수학동아 l2010년 02호
- ➍ 원을 그리다가 반대쪽에 비친 점과 만나면 펜을 놓고 띠를 확인한다. 화살표의 방향이 바뀌어 있다.원 대신 오른손을 그려 봐도 결과는 똑같다. 똑같은 과정을 거치면 오른손은 왼손으로 바뀌어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뫼비우스 행성 탐험기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둘째 날 알쏭달쏭 ... ...
-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수학동아 l2010년 02호
- 서로 다른 도형이지만 전개도의 모양은 직사각형으로 서로 같아. 직사각형 세로변의 방향만 다르지. 한 번 꼬아 붙인 뫼비우스 띠의 테두리 개수는 1개야. 그에 따라 면의 개수도 1개지. 그래서 앞면과 뒷면의 구분이 없어진 거야. 뫼비우스 띠의 면이 하나라는 것은 각각의 띠에 색을 입혀 보면 쉽게 ... ...
이전291292293294295296297298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