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수학동아 l2010년 02호
- 충분해. 한 가지 귀띔해 주자면, 여행중에 길을 잃어도 괜찮아. 차분히 길만 따라서 한쪽 방향으로 걸으면 어떻게든 제자리로 다시 돌아올 수 있으니까.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뫼비우스보다 내가 먼저야! 독일의 수학자 리스팅은 1840년에 ‘위상학’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리스팅은 ... ...
- 도넛과 머그컵이 똑같이 생겼다고?수학동아 l2010년 02호
- 찾아 볼래? 3 네 개의 원판에 고리가 걸려 있어. A판이 시계방향으로 돌 때, C판은 어느 방향으로 돌까? 4 길이가 20cm인 띠로 180° 만큼 두번 꼰 종이를 만들었어. 이 위를 무당벌레가 기어서 처음 위치로 돌아온다면 무당벌레가 돌고 온 총 거리는 얼마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뫼비우스 행성 ... ...
- 수를 한눈에 보여 주는 친절한 그래프수학동아 l2010년 02호
- 한다. line은 고대 영어에서 ‘가는 끈’, ‘실’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했으며 ‘방향’, ‘직업’, ‘정책’, ‘연극대사’ 등의 뜻으로도 쓰인다. 그림을 이용해 정보를 나타내는 그림그래프를 뜻하는 영어단어는 pictograph로 ‘그림’을 뜻하는 pictus(픽투스)와 graph가 합쳐진 단어다. ...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박물관에 비밀이 있다수학동아 l2010년 02호
-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장애물이나 벽에 부딪칠 때만 방향을 바꿔 움직이면 되겠어. 3번만 방향을 바꾸면 무사히 상자에 닿을 수 있겠는걸. 시작해 볼까.”뤼팽은 코사노스트라 일당의 눈을 피해 재빠르게 상자를 들고 나온다. 4 뜻밖의 선물그 시각, 지도를 따라 박물관 비밀통로에 간 허풍 일행은 ... ...
- 곡선 위의 승부수학동아 l2010년 02호
- 방법 중 하나가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을 왼쪽으로 휘게 만드는 거야. 경기가 반시계 방향 즉 왼쪽으로 계속 돈다는 것에서 생각해 냈지. 날은 곡선 구간과 비슷한 정도로 휘어져 있어. 또한 날의 가운데는 앞뒤보다 5~6mm 튀어나와 옆에서 보면 볼록하게 만들었어. 이렇게 스케이트날을 휘거나 ...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反動形成) 근심거리 또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이나 충동을 통제하기 위해 그 반대 방향의 성향을 과장해서 보이는 일종의 방어 메커니즘이다. 반동형성이 일어나더라도 원래의 감정이나 충동은 사라지지 않고 무의식 속에 남아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반드시 상반되는 두 가지 ... ...
- 신기한 고분자 화합물의 세계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구슬형 고흡수성 고분자에 적당한 물과 아로마 오일을 흡수시키면 우리도 쉽게 방향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구슬형 고흡수성 고분자를 물에 넣어 부풀게 하면, 물에 의해 원래 크기보다 훨씬 더 커지기 때문에 물이 분자 내부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그래서 과 같은 재미있는 현상이 ...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다르다. 얼음 바닥을 양손으로 쳐서 속력을 높인다. 머리나 어깨의 무게중심을 변화시켜 방향을 튼다.탄소 소재로 제작된 루지에는 핸들이나 조종대가 없고 선수는 가죽 고삐를 당기고 다리로 누르면서 썰매를 조종한다. 썰매의 무게는 1인승은 23㎏, 2인승은 27㎏ 이내여야 한다. 속도가 매우 빠르고 ...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서쪽으로 다소 이동한 것. 이 때문에 중태평양의 덥고 습한 공기가 한반도 서남쪽 방향에서 불어 들어왔다.한편 기상청은 “1월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계속 받아 추운 날이 계속됐지만 2월에는 북쪽으로 물러나고 대신 중앙태평양 엘니뇨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 ...
- 보고 만지면 저절로 빠져드는 촉각기술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개발하는 데 가장 중점을 둬야 하는 부분은 장치의 안정성이다. 촉각 재현 장치는 양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불안정하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장비에 물리적인 손상이 올 수 있다. 연구센터의 김영미 박사는 “시스템 사이에서 드나들거나 소모되는 에너지 차이를 분석해 ... ...
이전2922932942952962972982993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