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알아볼 수 있도록 글과 그림으로 기록했다. 일종의 건축 도면이자 장비의 설계도인
셈
이다. 이 내용은 ‘화성성역의궤 1권’에 수록됐다. 180년만에 부활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정조는 화성성역의궤가 훗날 큰 역할을 하리라 예측했을까. 수원 화성을 지은 곳은 ‘우로’ 위였다. 우로는 ... ...
10년 후, 당신의 명품인생을 위하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0년 뒤를 생각하며 자신에게 맞는 전공 지식과 경력을 쌓아야 진정한 독서를 한
셈
”이라고 말했다.과학동아 독자를 위한 팁 하나. ‘10년후, 나를 디자인한다’에는 이공계 장학금을 받는 방법과 각종 공모전과 인턴십 프로그램이 실린 부록이 있다. 이것은 진로 설계를 위한 든든한 후원자가 돼 줄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선배 과학자로서 같은 길을 걷고 있는 후배들에게 들려주는 따끔한 지침서 역할도 하는
셈
이다. 글쓰기가 두려운 이공계 학생이라면 이 책을 교과서 삼아 기본 원칙부터 충실하게 다져보는 건 어떨까.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이 있듯 탄탄한 논리로 무장한 자신의 글에 흡족해할 날이 곧 올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즉 램프에 흐르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셈
이다 하지만 교류에서는 전원의 극이 (+), (-) 등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때마다 서로 반대 극성의 전류가 교대되기 때문에 캐패시터에는 전기가 찰 틈이 없고 극성이 바뀌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한다 교류가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때 꼬투리에서 향기 성분이 함께 올라간다. 이제 막 추출한 신선한 바닐라향을 맡는
셈
이다.1995년 에르베 티스를 만나 분자요리의 세계에 뛰어든 엘 불리의 천재 요리사 페랑 안드리아. 그는 지난 2004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의 영향력 있는 100인’에 이름을 올렸다. “우리의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분해할 수 있는 플랑크톤이나 미생물이 죽기 때문이다.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한
셈
이다. 미생물, 보이지 않는 자원봉사자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틈새에 껴 있는 기름이나 모래속의 기름을 없애는 것은 태양과 미생물의 몫이다. 햇빛 속의 자외선은 기름성분이 분해되는 데 촉매역할을 한다. ... ...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21일 지원자 공개모집을 시작으로 약 2년간 달려온 대장정의 ‘마지막 걸음’만 남겨둔
셈
이다.탑승우주인으로 선정된 고산 씨와 예비우주인으로 선정된 이소연 씨는 지금까지 어떤 훈련을 받았으며, 오는 4월 8일 우주로 떠날 때까지 남은 과제는 무엇일까. 임무완수를 위한 항목을 점검해보자.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쉽게 잡을 수 있다”고 회고했다. 이미 이때부터 따오기의 수난시대가 시작된
셈
이다. 따오기는 1980년 이후 한반도에서 자취를 감췄고 세계적으로도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따오기는 여름과 겨울에 각기 다른 옷을 입는다. 여름에는 목과 등의 깃털이 탁한 흑색을 띠고 겨울에는 순백색이나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부상을 당한다. 생명의 필수조건으로 알려진 산소는 혐기성 미생물에게 치명적인 독인
셈
이다.산소가 내놓는 독성을 해독할 기관이 없는 혐기성 미생물과 달리 호기성 미생물은 활성산소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메커니즘이 발달했다. 사람도 몸속에 독성 산소화합물을 해독하는 메커니즘이 있어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자연에 존재하는 가장 완벽한 창조물인 인간의 몸속에 물리법칙을 뛰어넘는 답이 있는
셈
이다. 앞으로 나노구동기술을 실용화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조 교수의 포부처럼 생체현상의 도움을 받은 기계가 어디까지 진화할지 기대해본다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