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때 꼬투리에서 향기 성분이 함께 올라간다. 이제 막 추출한 신선한 바닐라향을 맡는
셈
이다.1995년 에르베 티스를 만나 분자요리의 세계에 뛰어든 엘 불리의 천재 요리사 페랑 안드리아. 그는 지난 2004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의 영향력 있는 100인’에 이름을 올렸다. “우리의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ransferRNA (tRNA) is of considerable interest in that it mayprovide insight into its mode of action.전달RNA의 3차원 구조는 전달RNA의 작동 방식에 대한통찰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흥 ... 성공해 입체구조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추운 겨울, 고춧가루를 훌훌 풀어 끓여낸 얼큰한 동태매운탕을 먹고 나면 움츠렸던 몸까지 확 풀린다. 이마엔 땀방울이 송골송골 맺혀 있다. 식당 문을 나서며 입가심으로 박하사탕 하 ... 취향의 포유류를 만나 과거 어느 때보다도 넓은 면적에서 종이 번성하는 기회를 갖게 된
셈
이다 ... ...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 액정온도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지나치게 높았던 것. 김 군은 이 사실도 모른 채 자신의 의지만 탓하며 졸음과 싸웠던
셈
이다. 액정온도계 색깔의 비밀 온도는 집중력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너무 추우면 근육이 경직돼 어깨에 힘이 들어가고 너무 더우면 추욱 늘어지기 십상이다. 전문가들은 집중력이 가장 좋은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자연에 존재하는 가장 완벽한 창조물인 인간의 몸속에 물리법칙을 뛰어넘는 답이 있는
셈
이다. 앞으로 나노구동기술을 실용화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조 교수의 포부처럼 생체현상의 도움을 받은 기계가 어디까지 진화할지 기대해본다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알아볼 수 있도록 글과 그림으로 기록했다. 일종의 건축 도면이자 장비의 설계도인
셈
이다. 이 내용은 ‘화성성역의궤 1권’에 수록됐다. 180년만에 부활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정조는 화성성역의궤가 훗날 큰 역할을 하리라 예측했을까. 수원 화성을 지은 곳은 ‘우로’ 위였다. 우로는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쉽게 잡을 수 있다”고 회고했다. 이미 이때부터 따오기의 수난시대가 시작된
셈
이다. 따오기는 1980년 이후 한반도에서 자취를 감췄고 세계적으로도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따오기는 여름과 겨울에 각기 다른 옷을 입는다. 여름에는 목과 등의 깃털이 탁한 흑색을 띠고 겨울에는 순백색이나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부상을 당한다. 생명의 필수조건으로 알려진 산소는 혐기성 미생물에게 치명적인 독인
셈
이다.산소가 내놓는 독성을 해독할 기관이 없는 혐기성 미생물과 달리 호기성 미생물은 활성산소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메커니즘이 발달했다. 사람도 몸속에 독성 산소화합물을 해독하는 메커니즘이 있어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물질의 표면을 분석하는 자기 현미경의 탐침을 탄소나노튜브로 대체할 수 있게 된
셈
이다. 코발트나 니켈 같은 기존 탐침을 탄소나노튜브로 대체하면 원자 수준의 분해능을 가진 자기 현미경을 만들 수 있다.컴퓨터만 있으면 모든 물질을 합성할 수 있을까. 그렇지는 않다. 현재 슈퍼컴퓨터로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선배 과학자로서 같은 길을 걷고 있는 후배들에게 들려주는 따끔한 지침서 역할도 하는
셈
이다. 글쓰기가 두려운 이공계 학생이라면 이 책을 교과서 삼아 기본 원칙부터 충실하게 다져보는 건 어떨까.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이 있듯 탄탄한 논리로 무장한 자신의 글에 흡족해할 날이 곧 올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