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카알과 주울의 엉뚱기발한 에너지 어드벤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몸에서나오는 체온을 모아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한 사람이 배출하는 에너지는 약
100
W. 여러 사람의 체온을 지하터널을 통해 열수집기에 모았다가 주변에 있는 아파트에 난방으로 공급하고 있다.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는 지하철 승객들이 배출하는 열을 모아 지하에 있는 물탱크를 가열해 1 ... ...
제인 구달 박사가 전하는 지구사랑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사실을 발견해요. 침팬지가 사는 터전인 숲이 엄청난 속도로 사라지고 있었거든요.
100
년 전 아프리카 숲에는 200만 마리의 침팬지가 살고 있었는데, 단 15만 마리밖에 남지 않았지요. 제인은 가슴이 아팠어요.세계를 돌며 환경 운동을 펼치다제인은 많은 사람이 동물을 비롯해 지구 전체를 사랑하길 ... ...
전설 속 여우가 돌아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해. 정말 종복원은 중요한 만큼 어려운 일 인 것 같아. 여우가 최소한 50마리는 넘어야
100
년 넘게 유전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살 수 있다고 해. 너무슬퍼하지 말고 계속 종복원을 위해 힘을 내야 해.종복원은 계속 된다왜 이렇게 힘들여서 여우를 복원하는 걸까? 여우처럼 먹이사슬의 중간에 있는 ... ...
콩벌레 vs 쥐며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종류가 살고 있어요. 물론 열대지방의 노래기처럼 크지는 않지요. 노래기는 다리를 13∼
100
쌍 이상을 가지고 있어 지네와 헷갈리기 쉽답니다. 뭐야! 이거 너무 쉽잖아? 몸을 말면 콩벌레, 몸을 말지 못하면 쥐며느리로군! 이제 헷갈리지 않겠지? 이렇게 쉬운 걸 헷갈리는 어린이들은 몸을 둥글게 말 ... ...
활용 만점 수세미오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스킨토너 대신 썼답니다.음~, 오이향이 가득! 아주 상큼한데요~?아삭아삭 수세미오이
100
% 즐기기여기서 끝이 아니랍니다. 수세미오이로는 맛있는 요리를 만들 수도 있다고요. 수세미오이를 양념에 무치면 새콤달콤 수세미오이무침이 되고,수세미오이와 호박을 같이 볶아 고소한 나물을 만들 수도 ... ...
나사 풀린 강아지풀 용수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1호
잘라 만든 표본이지요. 줄기의 단면을 얇게 잘라 말아 올린 모습을 광학현미경으로
100
배 확대했답니다. 한국생명과학연구소에서 이 작품을 만든 임수빈 친구는 “장난감이 낡아 나사는 튕겨나가고 용수철이 튀어나온 모습 같다”고 느낌을 전했어요 ... ...
갯벌 지킴이, 넓적부리도요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0호
중요한 철새 서식지인 습지를 인증하고 관리하는 노력을 해요. 현재 EAAFP에는
100
개 정도의 습지가 등록됐고 우리나라의 천수만, 순천만, 우포늪 등 모두 11개 지역이 포함돼 있지요. ‘철새이동경로 워크숍’을 꾸준히 열어 철새에 대한 세계 연구자들의 생각도 모으고 있답니다. 갯벌 같은 습지 ... ...
2030년 전기로 달린다! 꼬마 전기자동차 붕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0호
개발했어요.연구팀은 리튬이온전지의 양극을 이루는 물질의 입자 크기를 마이크로미터(
100
만 분의 1m)에서 나노미터(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작게 만들었어요. 이 입자에 설탕을 입혀 600℃ 정도 열을 가했더니 설탕에서 탄소가 분해되어 얇은 막을 이뤘어요. 마치 입자에 탄소 코팅을 한 것처럼 말이죠. ... ...
숫자퍼즐의 마술사 '팔각공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9호
‘어린이과학동아’ 창간 8주년 기념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한참 고민했다.무려
100
일 동안 고민한 끝에 썰렁홈즈는 어과동 명예기자가 되기로 했다. 하지만 편집장인 섭섭박사의냉혹한 테스트를 거쳐야 했다. 바로 평생을 숫자 8과 살고 있는 숫자퍼즐의 마술사인 ‘팔각공주’가 사는팔나라에 ... ...
쭈욱 당겼다가 슈웅! 종이로켓 나로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9호
있니? 그건 잘 모르겠어요. 우리나라 기술로 제작한 첫 번째 우주발사체인 나로호는
100
㎏급 나로과학위성을 지구 저궤도인300~1500㎞ 상공에 띄우려고 만들었단다. 전남 고흥에 있는 외나로도의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하지! 아하, 그렇군요. 그런데 나로호가 발사에 실패했던 이유는 뭔가요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