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월 21일일까. 마야의 달력은 ‘장기력’이라 부르며 ‘박툰’이라는 단위를 쓴다. 우리가 100년을 한 세기로 구분하는 것처럼 마야인들은 13박툰(약 5125년)을 하나의 거대한 시간 단위로 봤다. 마야인들은 기원전 3114년 8월 13일 우리가 살고 있는 4번째 세상이 시작됐다고 믿었다. 그런데 이 날을 ...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위해 세밀한 분석을 하는 것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들지 않냐는 질문에 정 교수는 “100년에 한 번이면 엄청난 양의 비다. 그런데 그 정도 양의 비가 지금은 더 자주 오고 있다. 10년에 한 번 올 정도의 비는 이미 빈번해지고 있다. 대비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모든 행사가 끝나고 조용해진 강연장에서 ... ...
-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때문이라고만 알려져 있다. 미국이 특허를 갖고 있는 이 기술은 2013년부터 쓰일 미국의 100달러 지폐에도 포함돼 있다.77246 위폐 완전범죄로 끝날까‘77246’이란 일련번호가 처음 발견된 때는 2005년. 7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 어떤 단서도 찾지 못한 상태다. 한국조폐공사는 위조지폐에 쓰인 잉크와 ... ...
- “대학 교수와 함께 연구해요”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평소에는 방과후 학교 형태로 과학 및 수학 분야 교육을 받고, 캠프 활동 등을 해서 연간 100시간 이상 공부와 체험을 한다. 싸이드림반은 높은 수준의 과제연구로 유명하다. 단순히 경험 차원에서 하는 실험은 과학지식을 깊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장기적으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하고, ...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있다).이런 흑점의 씨앗이 바로 새끼흑점이다. 고성능 태양망원경으로 보면 일반 흑점의 100분의 1 정도 크기(작은 것은 지름이 1000km, 큰 것은 5000km 정도)인 아주 작은 점이 간혹 보인다. 태양 표면은 뜨거운 상승기류 때문에 요동치는 쌀알무늬로 가득한데, 이런 쌀알무늬에 이리 밀리고 저리 치이는 ... ...
- 베올리아 환경·야생 사진 공모전 2012 - 야생동물의 하루를 따라가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도시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야생동물의 삶은 왠지 신비롭다. 그들이 살아가는 모습 일부를 엿본 것만으로도 설레는 맘을 감출 수 없다. 그 ... 공동으로 주관하는 행사로, 올해는 98개국에서 4만 8000개의 작품이 참여했다. 수상작 100점 중 치열한 삶을 엿볼 수 있는 사진 14점을 골라 소개한다 ... ...
- 황금의 수, 18수학동아 l2012년 11호
- 16으로 12보다 크다.과잉수 12, 18, 20, 24, 30, 36, 40, 42, 48, 54, 56, 60, 66, 70, 72, 78, 80, 84, 88, 90, 96, 100, 102,…그런데 자연수에서 과잉수는 얼마나 많을까? 정답은 ‘과잉수는 무한하다’. 그 이유는 과잉수의 정의를 천천히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다. 만약 어떤 과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수학 사랑이 널리 알려지자, 경상도 지역에선 중국의 수학책 을 새로 제작해 100권을 세종대왕에게 바쳤다. 그런데 세종대왕은 관료들도 수학을 공부해야 한다며, 집현전 학자들과 산학 관리부서, 천문역법 부서인 서운관 관리들에게 나눠 주었다. 은 13세기 남송의 수학자 양휘가 ...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어찌 된 일일까. 도요오카는 인구 7만 정도의 농촌도시로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 100여 마리의 황새가 살았다. 전쟁 후 농약 사용이 급증하면서 황새가 하나둘 사라졌고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1971년에 마지막 황새가 야생에서 사라졌다. 이후 도요오카 시는 중국과 러시아에서 황새를 도입했다. 198 ... ...
- ‘불산’ 무섭지만 버릴 수 없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불소이온 또는 그 염의 형태로 불소가 꽤 존재한다. 혈액의 불소 농도는 0.5ppm(1ppm은 100만 분의 1) 정도이고 연조직은 0.05ppm 정도 된다. 뼈에는 무려 200~1200ppm. 우리 몸의 불소를 다 합치면 3~6g이나 된다.이게 웬일인가 싶겠지만 우리 몸이 건강하려면 소량의 불소가 있어야 한다. 즉 불소의 독성은 불소 ... ...
이전2942952962972982993003013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