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종
종양
수 합체의 뜻
폐해
cancer
뉴스
"
암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젖산은 ‘피로물질’ 아니라
암
세포 키우는 물질
2015.04.17
격렬한 운동을 한 다음 날은 어김없이 온몸이 뻐근한 느낌의 ‘근육통’이 찾아온다. 1920년대 근육통을 일으키는 물질이 ‘젖산’일 것이라는 연구 ... 때(오른쪽) 분해되는 정도가 다르다. 산소가 부족할 때 NDRG3 단백질은 젖산(Lac)과 결합해
암
을 악성화시킨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
[‘만능 치료제’에 다 건 日] 유도만능줄기세포 임상 최전선, 고베 이화학연구소 르포
2015.04.17
그룹리더팀은 실험용 쥐 100마리 이상을 대상으로 안전성 검증 실험을 진행해 iPS세포가
암
으로 발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日 정부 ‘재생의료법안’ 만들며 전폭 지원 iPS세포의 이식 수술이 가능하게 된 배경에는 물심양면으로 연구와 임상을 도운 일본 정부가 있다. 다카하시 ... ...
항
암
제 딱 하나인 간
암
,
암
세포 조절 물질 찾았다
2015.04.15
기능을 제어하는 기전을 찾아내 새로운 개념의 간
암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간
암
치료제 개발에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 3월 2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생생한 현장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5.04.07
유일한 생명공학 연구기관입니다. 우리에게 유용한 바이오기술을 연구하는 곳이지요.
암
과 같은 난치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기술, 동물복제기술, 미생물을 식품에 이용하는 기술 등 유용한 바이오 기술이 이곳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2003년 인간게놈 유전자지도가 완성됨에 따라 유전질환 ... ...
암
덩어리 중심까지 약물 전달… 나노기술로 항
암
제 효과 높였다
2015.04.06
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이 공개한 그래픽. 종양 전역에 약물이 골고루 전달되게 해 항
암
효과를 높이는 새 종양투과 약물전달 나노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KAIST ... ...
내 면역세포로
암
치료, 어디까지 왔나
2015.04.05
‘이필리뮤맙(Ipilimumab)’이 탄생했으며 현재 환자 치료에 쓰이고 있다. 엘리슨 교수는
암
세포와 그 주변에서 발견되는 다른 종류의 면역세포 검문소들을 억제하는 연구가 현재 어느 정도까지 진전돼 있는지 소개한다. 네이처 제공 ‘네이처’ 표지에는 비행접시 같은 물체가 등장한다. 이 ... ...
지긋지긋한 항
암
제 부작용 없애는 기술 나왔다
2015.04.02
높아질 걸로 기대하고 있다. 강 교수는 “추가적인 임상 연구가 필요하지만 기존 항
암
제가 미토콘드리아에 잘 투입되도록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큰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미국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 ‘미국화학회지(JACS)’ 3월 31일자 ... ...
줄기세포 잘 보면 백혈병 치료 결과 보인다
2015.03.31
골수에 나타난 줄기세포 주위 세포의 변화를 살폈다. 그 결과 골수에서 증식하는
암
세포인 ‘백혈병 세포’가 정상 줄기세포를 지탱하고 있는 줄기세포 주위의 지지세포의 유전자 발현이나 지지기능 등을 바꾼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줄기세포 주변 환경도 정상 줄기세포는 억제하는 반면 ... ...
난치성 유방
암
치료 단초 찾았다
2015.03.31
나타났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에서 삼중음성 유방
암
에 이 유전자를 증가시키자 기존 항
암
치료가 효과를 낸다는 사실 또한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에 대한 진단 및 치료기술에 관해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제1 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이정연 한양대 연구조교수는 “동물실험에서 입증한 결과를 ... ...
일부다처제 동물일수록 ‘마초 유전자’ 강하다
2015.03.30
일부일처제를 하는 종은
암
수간 겉모습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한 연구팀은 다시
암
·수컷 새들의 비장과 생식기를 확인하고 유전자를 추출해 성선택과 유전자간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공작새, 개리, 닭, 오리 등의 닭기러기류는 모두 비슷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