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1971년 인텔이 최초로 마이크로프로세서 4004를 개발했을 때 여기에는 2300개의 트랜지스터가 들어있었다. 2000년 개발된 펜티엄4에는 약 4000만개가 들어있었다. 집적도가 무려 1만7000배가량 늘었다. 트랜지스터의 집적도가 2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을 적용하면 거의 맞아 떨어진다.그런데 마 ... ...
구름의 멋진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빠르게 위로 올라가 소나기구름을 만듭니다. 이때 물방울들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면서
전기
가 생기는 현상을‘방전’이라고 합니다. 방전이 일어날 때 나타나는 빛을‘번개’라고 부르죠.번개가 칠 때 들리는 천둥소리 또한 대단하지요? 번개가 치면 엄청난 열이 발생하고 공기가 팽창합니다. 이 ... ...
구름 위에서 즐기는 웹서핑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서비스를 위해 마련된 통신용 주파수가 없어 인터넷을 쓸 수 없었다. 그러나 2003년 국제
전기
통신연합(ITU)이 14~14.5GHz 대역의 주파수를 2차 업무용으로 항공기 인터넷 서비스에 쓸 수 있도록 분배했다. 같은 해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이 주파수를 이용해도 다른 위성 통신망과 간섭을 일으키지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1954년 5.52달러였지만 지난해에는 0.000000191달러였다. 신문에 인쇄된 글자 하나 값이다.
전기
스위치를 15조번 켜고 끄려면 2만5000년 정도 걸리지만 요즘 트랜지스터는 1초에 같은 수만큼 켜고 끌 수 있다. 무어의 신화는 계속되는가? 불투명하다. 2010년이 되면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줄이는 기술이 한계에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제일 먼저 처리하는 곳이다. 책을 볼 때 뉴런은 망막으로 들어온 빛 정보를 일종의
전기
신호로 바꾼다. 이 신호는 전용 케이블, 즉 신경망을 따라 시속 500km로 달려 1차 시각피질에 있는 뉴런들에게 전달된다. 시각피질의 뉴런들은 외부자극에 대해 반응이 비교적 확실하게 나타난다. 시각피질은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일본 도쿄대 다쿠조 아이다 교수팀은 직접 설계한 분자들이 저절로 모여서 매우 높은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는 나노튜브 형태의 초분자가 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네덜란드 그로닌겐대 버트 마이어 교수팀은 최근 유기발광분자를 적당히 변형시킬 경우 이들이 뭉쳐서 매우 높은 광학활성을 갖는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용 노화방지 기작 규명(2018)• 해류와 조류 이용 기상 조절 기술 실용화(2020)• 생체
전기
에너지 배터리 전환 기술 개발• 나노미터 크기의 혈관청소용 로봇 개발(2017)우주로 떠나는 신혼여행요즘 최고의 신혼여행지는 우주다. 우주관광 상품은 종류도 다양하다. 잠깐 우주 공간에 나갔다가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교수님은 처음엔 의사가 되고 싶었다고 해요. 초등학생 시절에 슈바이처 박사의
전기
를 감명 깊게 읽고‘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의사가 되어 볼까’하고 생각하게 되었지요.물리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고등학교 때에요. 고등학교 때 물리 선생님이 대학 입시 위주로 가르쳐 주던 선생님들과는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것도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조절된다. 실제로 최근 ‘사이언스’에는 소리신호와
전기
충격을 연결시키는 공포 기억 훈련을 받은 쥐의 뇌에서 수용체가 신경세포막으로 더 많이 올라간다는 내용이 실렸다. 즉 시냅스 가소성을 위해 수용체의 효율이나 수가 조절되는 것이다. 나이 들면 어학공부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맺힌 이미지를 감지한다. 빛의 자극을 받은 신경세포들이
전기
신호를 생성하면 그
전기
신호가 뇌까지 연결돼 있는 신경세포로 전해진다.사람의 눈을 종종 카메라에 비유하곤 한다. 카메라 렌즈처럼 눈의 수정체가 거꾸로 된 상을 망막에 맺기 때문인데, 시각체계에 대해 좀더 생각해 보면 이 비유가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