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능줄기세포 결정 칼날 쥔 리보솜
2015.10.12
필요한 단백질들 간 균형이 깨지며 ‘만능 기능’이 상실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김
단장은 “줄기세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DNA에 초점이 맞추던 것과 달리 RNA에 집중한 덕에 줄기세포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었다”며 “단백질 생산 기계인 리보솜이 배아줄기세포에서도 ... ...
“초파리 허물 벗는 데는 ‘뉴런’이 중요”
2015.10.12
다양한 뉴런이 이 호르몬에 의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자세한 원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초파리의 탈피행동이 단계별로 일어나는 것에 대해 새로운 이론을 제시한 결과”라고 말했다. 탈피는 초파리 같은 곤충은 물론 절지동물의 대부분에서 나타나는 본능 행동이다. 만일 ... ...
SK 와이번즈 울린 야구 명언 ‘히드랍더볼’
동아사이언스
l
2015.10.08
아무리 성인이라도 5시간 내내 경기에 집중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실제로 넥센의 유격수
김
하성도 이날 실책이 있었습니다. 그저 실책을 하는 ‘순간’이 언제였냐가 문제였지요. 혹시 경기에 대한 부담감으로 전날 잠을 설친건 아닐까요? 피곤하면 집중력이 떨어질 테니까요. 체르노빌 ... ...
수시 면접파-논술파, 정시파… 혼란의 고3 교실 ‘각자도생’?
동아일보
l
2015.10.08
보인다. 이런 분위기 속에 수능만 준비하는 고3 학생은 소수로 밀려난 것. 이 학교 3학년
김
모 군(18)은 최근 수능을 준비하는 다른 반 학생들과 함께 “수시 준비생들은 면접, 논술 준비 등으로 어수선하니 같이 수업을 하면 오히려 공부에 방해가 된다. 차라리 수업을 들어가지 않고 자습실에서 하루 ... ...
[2015 노벨 물리학상] ‘유령입자’ 질량 입증한 과학자 2명 수상
2015.10.06
수상의 영예를 안았지만 ‘절대 질량’은 밝혀지지 않는 등 여전히 미스터리 입자다.
김
교수는 “중성미자 3종류 중 어떤 게 가장 무거운지 밝혀내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에게는 총 800만 크로나(약 11억2200만 원)의 상금과 메달, 상장이 주어지며, 상금은 ... ...
미분방정식으로 60년 생물학 난제 풀었다
2015.10.06
사실로 확인됐다. 이 대학원은 미국 듀크대와 싱가포르국립대가 공동운영한다.
김
교수는 “인산화 스위치를 조절하는 물질을 개발한다면 야간 근무나 잦은 해외 출장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생체시계 이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셀’ 자매지 ‘멀레큘러 ... ...
아이폰 ‘뽑기’ 논란, 2nm 차이는 성능에서 얼마나 차이 나나
2015.10.04
조건이 동일하다면 회로선폭이 좁은 AP칩이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빨리 처리할 수 있다.
김
교수는 “회로선폭이 좁아질수록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가 이동하는 거리가 짧아져 일반적으로 데이터 처리 속도도 빨라진다”고 말했다. ... ...
정신지체 유전 질환 ‘취약 X 증후군’ 유전자 교정 첫 성공
2015.10.04
단백질로 발현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CpG섬)에서 탈메틸화가 일어났다.
김
교수는 “질병 원인 유전자인 FMR1를 어떻게 켜고 끄는지 원리를 밝혀낸 것이 이번 연구의 성과”라며 “취약 X 증후군의 치료법 연구에 큰 단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저널 ‘셀 ... ...
복잡한 림프절, 광음향으로 꿰뚫어본다
2015.10.01
포스텍 제공 우리 몸에 이상이 생기면 몸 속 전체에 퍼져 있는 면역기관인 림프절이 부풀어 오른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일어나는 면역 반응 때문이다. 림 ... 860nm 두 가지를 동시에 활용하여 살아있는 쥐의 림프절을 광음향 영상으로 촬영했다. -
김
철홍 포항공대 교수 제공 ... ...
먹어도, 먹어도 배가 고파요
2015.09.30
작동하지 않자 배가 부른 상태를 인식할 수 없게 되고 계속 먹는 상태가 지속된 것이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사람의 CaMKI 유전자 대사조절 관련 기능 또한 규명할 수 있었다”며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 원인 유전자 발견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피알리 생굽타 미국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